연방준비제도이사회에 콜린파월의장이 금리동결을 3연속 단행했는데 혹시 파월정책에 맞는 투자처는 어디인가요
요즘 경기 불확실성이나 미국시장의 널 뛰기가 심한데요. 이런와중에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콜린파월의장과 관련된 투자처는 어디 일까요?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이 어제 기준금리를 동결했지만 미국 경제전문가 대부분이 올해 3회 기준금리 인하를 예상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미국국채 금리 하락은 미국국채 가격이 상승한다는 말입니다 미국 국채가 앞으로도 계속 하락할거라 생각한다면 미국채를 증권회사 통해서 직접 매입하거나 미국채 etf 를 사시면 될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가 인하되는 대신 동결된다는 것은 위험자산보다는 안전자산 선호도가 높아질수 있단 뜻입니다. 안전 자산에는 채권, 금 등이 있습니다. 다만 금리 인하 기대감은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금리가 지속 동결될지 여부를 보면서 안전 자산에 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 동결은 배당주에게는 호재로 수요가 급증할 수 있습니다.
대형주나 필수 소비재 관련한 종목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국채 가격으로 이어질수 있기 때문에 국채 투자나 원자재 투자, 달러 비중이 큰 수출기업 에 투자하시는걸 권해드립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파월 의장이 연속적으로 금리를 동결하고 있다는 점은 긴축 종료 신호로 해석될 수 있어, 금리 민감 업종과 안정적 자산군이 주목받을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고배당주, 리츠(reitS), 장기채권, 그리고 기술주 일부가 수혜를 볼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부채 부담이 줄어드는 리츠나, 금리 하락 기대가 반영되는 성장주가 유리한 환경이 조성될 수 있습니다.
또한 금리 고점 인식과 동시에 연착륙 기대가 높아진다면, 내수 소비주와 경기민감주에도 자금이 다시 유입될 수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변동성이 이어질 수 있지만, 파월 의장이 물가 안정과 시장 신뢰 회복을 병행하려는 점에서 방어적이면서도 회복 잠재력이 있는 자산군을 중심으로 분산 투자하는 전략이 적절해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기준 금리를 동결하고 있을 때의 투자처에 대한 냉요입니다.
이런 경우 현금을 보유하면서 투자하지 않는 것도 하나의 투자 옵션이라고 생각합니다.
어느 정도 방향성을 확인한 다음 주식이나 코인 등에 투자하시는 것도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를 연속으로 동결했고 앞으로도 금리를 천천히 내릴 전망이라면 현재 상황에서는
달러 자산에 투자하는 것이 맞고 향후 기준금리 인하를 기대한 다면 채권이 좋습니다
따라서 둘의 상황에 부합하는 것은 미국 주식이나 채권등을 매매하는 것인데 여기서
채권의 경우는 금리를 향후 내릴 때 수익이 발생하는데 그 때는 환율도 하락할 수 있다는
점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금리가 동결상태로 유지하면서 시장 경제의 불안정성 우려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위험자산의 투자보다는 안전성이 높은 자산에 투자하시기 바라겠습니다
ㅈ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파월 의장은 아무래도 중립을 지켜야 하고 어느 한쪽에 치우쳐있지 않아서 관련주라고 할만한 주식 종목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