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퍼 인플레이션 국가에서 세금 대폭 늘리고 화폐 개혁하며 대신 인플레이션 재난 지원금 형식으로 조금씩 분배하고 이자를 늘리면 어느정도 물가가 잡히고 벗어날 수 있나요?
하이퍼 인플레이션 국가에서 세금 대폭 늘리고 화폐 개혁하며 대신 인플레이션 재난 지원금 형식으로 조금씩 분배하고 이자를 늘리면 어느정도 물가가 잡히고 벗어날 수 있나요?
짐바브웨 등 물가상승률 높고 화폐가치가 떨어진 나라들 정책이 궁금합니다.
위와 같은 국가들은 화폐 개혁 등을 하고 돈을 적게 찍는 등 질문자님의 제시한 방법으로 물가를 잡을 수 있을 것입니다만 짐바브웨 등은 화폐를 개혁하여도 지나치게 화폐를 다시 찍어내는 등 하기에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하이퍼 인플레이션을 겪었던 국가들을 보면 짐바브웨나 과거 전쟁 직후의 독일이 있는데 이러한 국가들은 모두 하이퍼인플레이션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화폐개혁을 하였다는 공통점이 있어요
이와같은 의견에 결과는 특정한 경우에 효과를 발휘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단기적인 조치로서는 인플레이션을 완전히 잡는 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하이퍼인플레이션의 원인이 지금 통화량 증가다, 소비증가, 공급이 축소되었다 등의 교과서같은 접근이 계속되니 지금 이렇게 방법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는 여름은 덥고 겨울은 춥다같은 소리입니다
지속해서 독과점해온 시장들이 국내와 국제의 어떤 사건이 발생할때마다 찔끔찔끔 올리는 부분이 있고, 사과를 대량 사들여 가격이 오를때까지 숨겨두는 등의 일들이 먼저 처리가 되야할겁니다
질문해주신 하이퍼 인플레이션의 대처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인류의 역사상 몇 나라에서 하이퍼 인플레이션이 나타났고
최근에는 짐바브웨의 하이퍼 인플레이션이 나타났습니다.
짐바브웨는 2000년 초반부터 하이퍼 인플레이션이 나타났고 2008년 7월 기준으로 무려
231,150,888% 를 기록했습니다.
결국 2008년 짐바브웨는 이에 대처하기 위해서 자국의 통화를 페지하고
외국 통화를 자국의 통화로 선포하면서 하이퍼인플레이션에 대처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