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증수치나 면역력이 안좋으면 성형했을때 회복이 더디나오..?
제가 팔 지흡전에 대상포진 감기에 심하게 걸려 다 낫고 지흡을 했어요. 그런데 9일차에 겨드랑이에 실밥을 제거했는데 제대로 아물지 않있더라구오ㅠㅠ..그리고 붓기도 잘 안빠지는거 같아서요.
혹시 이게 면역, 염증수치랑 관련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네, 말씀하신 회복 지연은 염증 수치나 면역력과 연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몸이 최근에 대상포진이나 심한 감기를 앓았던 상태였다면, 아직 면역 체계가 완전히 회복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지흡(지방흡입)처럼 조직 손상이 생기는 수술을 받은 경우, 면역력이 약하면 염증 반응이 오래 지속되거나 회복 속도가 늦어질 수 있고, 실밥 부위가 제대로 아물지 않거나 멍, 부기 등이 오래 갈 수 있어요
수술 후 감염 예방과 조직 재생은 면역력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최근의 질병 이력은 충분히 영향을 줄 수 있죠
또한, 염증 수치(예: CRP, 백혈구 수치 등)가 높다면 몸이 아직 염증 반응 상태에 있다는 의미이므로, 회복이 더뎌질 수 있습니다. 부기가 오래 가거나 상처가 잘 아물지 않는 경우엔 감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실밥 제거 이후 상태가 지속적으로 안 좋아지거나 진물이 나오는 등 이상 증상이 있다면 반드시 병원에 재진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당분간은 충분한 수면, 영양 섭취, 무리한 활동 자제로 회복을 돕고, 필요하면 혈액검사로 염증 수치를 확인해 보는 것도 도움이 될 듯 해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수술 후 회복 속도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질문자분의 경우, 팔 지방흡입 수술을 받으셨고, 실밥 제거 후에도 상처가 잘 아물지 않아서 걱정이 되시는 것 같습니다.
면역력과 염증 수치는 회복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면역이 약해져 있거나 염증 수치가 높으면, 세포 재생이나 조직 회복이 더디게 진행될 수 있습니다. 특히, 대상포진이나 감기와 같은 질환을 겪은 후에는 신체의 면역 체계가 회복하는 데 시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수술 후 상처 치유가 늦어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또한, 붓기가 오래 지속되는 이유도 면역 체계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수술 부위의 붓기는 자연스러운 반응이지만, 면역력이 저하된 상태에서는 붓기가 더 오래 지속될 수 있습니다. 수분 섭취를 충분히 하고, 휴식을 취하며, 건강한 식단을 유지하는 것이 회복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혹시라도 염증이나 감염 증상이 나타난다면,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병원을 방문해서 전문의의 진찰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수술 후 회복 속도는 면역력과 염증 수치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면역력이 저하되면 상처 회복이 느려지고, 염증이나 감염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감기나 대상포진 등으로 몸이 약해진 상태에서 지방흡입 시술을 받으면, 상처가 잘 아물지 않거나 붓기가 오래갈 수 있습니다.
특히, 평소 상처가 잘 아물지 않거나 쉽게 붓고 붉어지는 경우, 면역력과 재생력이 부족할 수 있으니 충분한 휴식, 영양, 스트레스 관리가 필요합니다.
면역력이 저하되어 있거나 염증 수치가 높아 몸에 염증이 있고 컨디션이 좋지 않은 상태에 있다면 회복 능력도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상처 등이 잘 아물지 않을 수 있긴 합니다. 그렇지만 해당 내용만 보고 질문자님의 경우가 그에 해당한다 어떻다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판단하기에는 근거가 충분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지방흡입을 한 겨드랑이의 실밥을 제거했는데 제대로 아물지 않고 붓기도 잘 빠지지 않았군요
면역, 염증수치랑 전혀 관련이 없다고는 할 수 없겠지만 직접적인 관련이 있지는 않습니다.
제대로 아물지 않았다는 것은 염증이 있다는 것일까요? 아니면 벌어진다는 뜻일까요?
어느쪽이 되었던 담당선생님이 제거하시고 나서 특별한 언급이 없었다면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한 번 치료한 병원에 다시 한 번 확인을 해보세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건강 상태나 영양 섭취가 불량한 경우, 당뇨병 환자의 경우 혈당 조절이 잘 안되는 경우, 음주, 흡연 시, 부주의하게 상처 관리 시 상처 회복이 지연되거나 덧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