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30

여우가 교활함의 상징이 된 이유는 뭘까요?

옛날 이야기 책이나 신화와 전설등을 보면 여우가 교활함이나 비겁함의 상징인 경우가 많더라고요.

그렇게 된 역사적인 배경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여우의 상징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많은 민간전승이 내려오고 있는데 대부분 술수와 변화를 부려 인간을 괴롭히는 요물로 인식하였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의기록에 보면 《고려사》의 고려 건국신화에 여우가 조화를 부리는 영물로, 사악한 악물로 등장합니다.

    강감찬 탄생설화에서는 인간사회에 지혜로써 처신하고 풍요를 암시하는 존재로 전해 내려오고 있습니다.
    특히 천년을 묵어 꼬리가 9개 달려 자유자재로 변형해 사람을 홀린다는 구미호(九尾狐)의 이야기는 《산해경》에서와 같은 신성수(神聖獸)의 관념과 상통합니다.

    민간속신에 여우의 울음은 죽음을 뜻하며, 여우는 무덤을 파서 송장을 먹는다 하여 더욱 죽음을 상징하고 있습니다.


  • 활달한파리매77
    활달한파리매7723.08.30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여우가 교활함이나 비겁함의 상징이 된 데에는 역사적인 배경이 있습니다.

    여우는 야행성 동물로, 밤에 활동하며 작은 동물들을 사냥합니다. 또한, 뛰어난 지능과 민첩성을 가지고 있으며, 교묘한 방법으로 먹이를 사냥합니다. 이러한 여우의 습성이 사람들에게 교활함이나 비겁함의 이미지를 심어주게 된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여우는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동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여우는 밤에 농작물을 훔쳐먹거나, 가축을 공격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여우의 행위가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는 것으로 인식되면서, 여우는 악한 동물로 여겨지게 되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여우는 동양 뿐 아니라 서양에서도 교활하고 눈치가 빠른 영민한 동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여우는 지능이 뛰어나고 뛰어난 사냥 전략으로 언제나 놀라운 관찰력을 가지고 있기에 영어 표현에서도 as sly as fox( 여유처럼 교활한) 이라는 표현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