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틸렌 글리콜 용액을 자동차 부동액으로 사용하는 현상은 용액의 총괄성과 어떠한 관련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용액의 총괄성이란 용질의 모양이나 크기와는 상관없이 용질에 몰수에만 의존하는 성질이라고 알고 있는데요, 이때 에틸렌 글리콜 용액을 자동차 부동액으로 사용하는 현상은 용액의 총괄성과 어떠한 관련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네 질문해주사 것처럼 자동차에서 에틸렌 글리콜(C₂H₆O₂) 용액을 부동액으로 사용하는 현상은 바로 용액의 총괄성과 깊은 관련이 있는데요, 용액의 총괄성은 용질의 성질이 아니라 용질 입자의 수에만 의존하는 성질로, 대표적으로 증기압 내림, 끓는점 오름, 어는점 내림,삼투압이 있습니다. 자동차 냉각수에 에틸렌 글리콜을 섞으면 어는점 내림 현상이 나타나는데요, 순수한 물은 0 ℃에서 얼지만, 에틸렌 글리콜을 섞으면 용액의 어는점이 낮아집니다. 이는 용액 속에 용질 입자가 존재하면, 고체와 액체의 상평형을 유지하기 위해 더 낮은 온도가 필요하기 때문이며, 따라서 겨울철에 냉각수가 쉽게 얼지 않아 엔진이 손상되는 것을 막습니다. 다음으로 끓는점 오름 현상과도 관련있는데요, 물은 보통 100 ℃에서 끓지만, 에틸렌 글리콜이 들어간 용액은 끓는점이 더 높아지며, 이는 고온에서 냉각수가 쉽게 끓어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여 여름철 엔진 과열을 예방합니다. 즉, 에틸렌 글리콜 용액이 부동액으로 작용하는 원리는 순수한 물보다 어는점은 내려가고, 끓는점은 올라가는 용액의 총괄성을 이용한 것입니다. 즉 자동차 부동액으로 에틸렌 글리콜을 사용하는 것은 어는점 내림과 끓는점 오름이라는 총괄성 현상을 응용한 것이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박사입니다.
무슨 의미 인지는 모르겠지만 부동액이란것은 결국 얼지 않는용액을 뜻합니다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가성비등을 고려했을때 가장적합하여 사용하는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