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깨끗한오색조199
깨끗한오색조19923.05.11

도깨비 불은 사람의 인 성분이 맞나요?

도깨비 불은 사람의 인 성분이 맞나요?

어디서 본거 같은데요...죽은사람의 인 성분이 공기중에서 발화되는 현상이라고 들었거든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도깨비불’은 화학반응의 결과일 뿐입니다.인 화합물이 물과 작용하여 분해될 때 생기는 인화수소는 상온에서도 불이 붙는데, 이것이 도깨비불인 것입니다.

    즉 인화수소는 동식물이 죽어서 썩을 때는 물론, 사람의 시체가 썩을 때도 발생하는데, 뼈 속에 있는 다량의 ‘인’ 성분이 밖으로 나오면서 공기 중에 떠다니다가 물과 작용해 스스로 불이 붙기 때문에 묘지 근처에서 더 많이 볼 수 있읍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도깨비불의 정체는 인입니다. 인은 인화성이 커서 공기 중에서 쉽게 발화하여 초록빛의 인광을 내는데요. 공동묘지 주변에서 도깨비불이 많이 보이는 것은 동물의 뼈가 많은 특성 때문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도깨비 불은 사람의 인 성분으로 인한 발화가 아니라, 화염에 의해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도깨비 불은 불꽃이 일정한 간격으로 일어나는 현상을 말하며, 이는 화염이 연소할 때, 가열된 공기가 끌어 올려지면서 주변 공기를 끌어당기고, 그 과정에서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이 때 불꽃에서 인 성분이 발생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인 성분으로 인해 불꽃이 일어나는 것은 아닙니다. 인 성분은 신체에서 발생하는 불순물 중 하나이며, 인 성분을 포함한 다른 불순물들은 불을 피울 때 불꽃의 색깔을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도깨비불이 발생하는 원인은 여러가지 있으며 가장 흔한경우는 무덤속 사체가 시간이 지나 노출되어 뼈에 있는 인이 공기중에 노출되어 빛을 발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즉 인성분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이러한 불빛은 일반적으로 수증기, 가스, 화학적 반응 등으로 인해 발생되며, 자연 현상으로 설명되고 있습니다. 인간의 인 성분 혹은 반딧불이라는 설도 있고, 전기 스파크 현상이라고 하는 설도 있습니다. 늪이나 동물 사체 등에서 발생한 메테인 가스가 대기 역전층과 같은 이유로 모여있다가 발화한다는 설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