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수요일
수요일

홍콩에서는 이더리움 ETF를승인하고

홍콩은 미국과달리 이더리움ETF를 승인하고 이더리움의 스테이킹까지 허용한다고 하는데 이렇게 되면 미국의 경우와 무엇이 틀리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질문해주신 홍콩과 미국의 이더리움 승인에 대한 차이점입니다.

    미국에선 이더리움의 스테이킹에 증권성이 있다는 판단을 하고 있지만

    홍콩에서는 증권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 홍콩은 가상자산에 대해서 미국에 비해 더욱 관대하고 제도권 속으로의 자산으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 그렇기 때문에 현물 ETF는 물론 스테이킹까지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있는 모습니다

    • 홍콩은 과거부터 미국의 금융시장만큼 금융으로 이루어진 국가로 불리우고 있습니다

    • 두 나라가 어디가 옳고 그른지는 알 수 없으나 각기 가상자산에 대하여 생각하고 있는 가치에 대한 차이입니다.

    감사합니다.

  • 일단 어느 시장에 상장이 되었느냐 그거에 대해서 큰 차이가 납니다. 많은 투자자들이 미국에 상장된 ETF를 투자하지만 홍콩에 상장된 ETF를 투자하는 경우는 훨씬 적습니다 투자자의 규모와 투자자의 분포 같은 것이 다릅니다

    이점에서 발생하는 차이가 가장 큽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홍콩은 이더리움 ETF와 스테이킹을 허용해서 투자자들이 더 쉽게 이더리움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반면, 미국은 이런 허용이 제한적이라서 투자 기회가 적습니다.

    그래서 홍콩에서는 더 많은 사람들이 이더리움에 투자하고 이더리움 관련 금융 상품이 더 다양해질 수 있습니다.

  • 미국과 같은 경우에는 현물을 담게는 하였습니다만 아직까지 해당 이더리움에 대한 스테이킹은 허용하지 않았기에 이러한 것이 다르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주감동적인목련님 ^^

    정말 좋은 질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최근 홍콩에서 비트현물ETF가 승인 된 후 미국에 비해 유입이 그리 크지 않은 것을 보았습니다.

    실제로 이더리움현물ETF의 경우 스테이킹까지 홍콩에서는 승인 한 것을 보면 이더리움에 대하여 확실하게 증권이 아니라 상품으로 인식하는거 같습니다. 이를 과연 미국에서는 어떻게 생각할지도 궁금한데 향 후 미국현물ETF승인 후 지금은 빠졌지만 향 후에는 가능하게 하는 빌미가 될려면, 홍콩이더리움현물ETF가 크게 대박을 좀 쳤으면 하는 바램 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 드립니다~

  • 미국은 이더리움의 스테이킹 조항을 문제 삼으면서 증권성을 다투었으나 이와 관련된 조항을 삭제하는 조건으로 신청을 승인한 것입니다.

    SEC는 스테이킹의 증권성 여부를 지속적으로 제기하는 등 투자자 보호 관점에서 운용사에 신청서를 수정할 것을 요청했으며, 이에 운용사들은 일제히 스테이킹을 하지 않을 것을 명시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