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스테이블코인 (USDT)이 달러보다 비싼 이유가 뭔가요?
달러스테이블코인 (USDT)은 달러연동인데 거래소가격이 항상 1달러보다 수십원이나 더 비싸네요. 국내거래소 가격이요. 외국에서는 1 USDT가 거의 1 US dollar인데요
USDT는 미국 달러랑 가치가 똑같게 만들어진 코인인데요, 국내에서 비싼 건 주로 '김치 프리미엄' 같은 현상 때문이에요. 한국에서 암호화폐 사려는 사람이 많을 때, 특히 해외 거래소로 자금을 옮기기 위해 USDT를 찾는 사람들이 많아지면 수요가 확 늘어나거든요.이렇게 수요가 공급보다 많아지면 가격이 자연스레 오르는데, 이게 달러 환율보다 비싸게 느껴지는 거랍니다.
외국거래소에서 1USDT의 가격이 1달러의 가치와 비슷하다고 생각되지만, 우리나라거래소에서는 김치프리미엄이라는 것이 붙어서 조금 더 비싼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USDT 보통 테더라고 불리는 코인은 1달러에 패깅이 된 코인입니다. 즉 가치는 1달러인데 국내 코인 거래소에서 보면 달러 보다 비싸거나 혹은 저렴한 상황이 생기는데 이는 국내 거래소에 김치프리미엄이라고 불리는 현상이 발생하면 테더의 가격도 비싸집니다.
보통 비트코인 김프가 3%라고 한다면 테더도 3% 비싼 것이죠
안녕하세요~석산화입니다~
거래소에서 USDT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 가격이 올라갈 수 있습니다.무조건 달러 가격에 맞추는게 아니라 달러 가격 밑으로 일정 금액 이하로 안 떨어지게 합니다.
국내 거애소에서 USDT가 달러보다 비싼 이유는 원화-달러 환율, 김치 프리미엄, 수교공급의 불균형 때문입니다.
해외에서는 거의 1달로로 유지되지만 국내에서는 직접 달러를 들여오기 어렵고 수요는 높아 가격이 오릅니다.
원화로 직접 코인 매수시 USDT 수요가 많아지며 가격이 달러 대비 수십원 높게 형성되곤 합니다.
보통 1테더는 이론적으로 1:1로 가치가 고정되도록 설계되었지만 실제 거래소에서는 테더가 달러보다 비싸죠. 보통 암호화폐 변동성이 커지거나 하락장일 때 투자자들은 자산을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서 테더와 같은 스테이블 코인으로 전환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때 수요가 증가하여 가격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달러 스테이블코인이 달러보다 비싼 경우는 없구요.
스테이블코인은 달러에 일대일로 고정된 가상 자산입니다.
가격이 변동하지 않고 항상 1달러에 맞춰져 있죠
즉, 스테이블코인 가격이 달러보다 더 비쌀 수 없습니다.
국내거래소는 원화를 사용하기 때문에 환율과 거의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