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선량한잠자리125
선량한잠자리125

육지의 온도가 바다의 온도보다 빨리 가열 되는데 얼음은 왜 공기중에 있을때보다 수중에 있을때 더 빨리 녹는 이유가 뭔가요?

초여름에 물 바깥에 있을 때는 땀이 흐르고 더운데 바다에 들어가면 바닷물이 차갑습니다

그러면 수중에 있는 얼음보다 공기 중에 있는 얼음이 더 빨리 녹아야 하는 거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근면한하마253
      근면한하마253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이 녹는 과정은 생각보다 복잡한데요. 그럼 얼음이 물에서 더 빨리 녹는 이유를 알아볼까요?

      분자 밀도와 열 전달 속도: 물은 공기보다 더 높은 열전도도와 열용량을 가지고 있어서 더 많은 열을 흡수하고 빠르게 전달합니다. 따라서 얼음을 공기 중에 두는 것보다 물 속에 두었을 때 얼음은 더 빨리 녹게 됩니다. 물 속의 차가운 물은 얼음과 더 많은 열을 주고 받을 수 있어서 더 빨리 녹을 수 있습니다.

      활성 표면적 증가: 물에서 녹는 얼음은 물과 밀접하게 접촉하기 때문에 빠르게 열을 전달받아 녹는 속도가 높아집니다. 얼음이 기체로 둘러싸여 있을 때와 달리 얼음이 액체 속에 있을 때 활성 표면적이 증가합니다.

      얼음이 녹는 것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복잡하게 결정됩니다. 물과 공기의 온도, 환경 등이 모두 작용할 수 있습니다. 과학적 질문에 답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자신의 실험을 수행하는 것인데, 이는 놀라운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뜨거운 물은 때때로 찬 물보다 빨리 얼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물 바깥에서 땀이 흐르는 것은 우리 몸의 열을 조절하기 위한 자연스러운 반응입니다. 그리고 바다에 들어가면 바닷물이 차갑다는 것은 바다의 온도가 우리 몸의 온도보다 낮기 때문입니다. 이는 바다의 물이 더 많은 열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물의 열전도율이 공기보다 더 높기 때문입니다. 열전도율이 높다는 것은 물이 열을 더 잘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물 속에 있는 얼음은 물의 열을 더 많이 흡수하게 되어 더 빨리 녹는 것입니다.

      그리고 물 속에 있는 얼음은 물의 밀도가 더 높기 때문에 물 속에서 더 빨리 녹는 것도 이유 중 하나입니다. 물의 밀도가 높다는 것은 물 속에서 물 분자들이 더 가까이 모여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물 속에서 물 분자들이 더 많이 충돌하게 되어 열을 더 많이 흡수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물 속에서 얼음은 더 빨리 녹게 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이 녹는 속도에는 여러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데 온도 물질의 열전도율 그리고 주변 매체의 열

      전달 특성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공기 중의 얼음이 물 속의 얼음보다 빨리 녹는다는

      것은 반드시 맞는 말은 아닙니다

      공기는 물보다 열전도율이 훨씬 낮아 열을 전달하는

      능력이 물보다 떨어집니다

      이는 공기 중의 얼음이 물 속의 얼음에 비해 상대적

      으로 느리게 녹을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반면 물은 열을 더 잘 전달하기 때문에 수중의 얼음은

      주변 물의 온도가 얼음보다 높다면 빠르게 열을 흡수

      하여 얼음이 녹습니다

      또한 바다의 물은 상대적으로 클 때 더 많은 열량을

      저장하고 있어 수중의 얼음이 공기 중의 얼음보다

      빠르게 녹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공기 중이나 물 속 얼음이 빨리 녹느냐는

      주변 환경의 온도 그리고 열 전달 능력에 달려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