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붉은연어
붉은연어

두돌 지난 아기가 처음 보는 사람은 계속 처다 봅니다. 왜 그럴까요?

안녕하세요. 두돌 지난 아기가 있는데 처음 사람을 만나게 되면 그냥 빤히 처다 봅니다. 딱히 어떤걸 하지도 않았는데 말이죠. 왜 그럴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두돌 정도라면 아이가 양육자와 애착을 형성하는 시기입니다.

    개인 차이가 있으나 생후 6개월에서 24개월 사이 자신의 불편함을 해결해 주는 사람에 대한 안전감, 신뢰, 그리고 긍정적 관계를 말합니다.

    아이가 다른 성인을 유심히 보는 것은 경계의 눈빛일 수도 있고, 새로운 인물에 대한 호기심일 수도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어떤 문제가 있다기 보다는 새로운 사람에 대한 호기심과

    낯선 사람에 대한 경계일 것 같습니다.

    이럴때 아이가 놀라지 않게 자연스럽게 아이가 적응할 수 있도록 내버려 두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1명 평가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기들은 아직 인지 능력이나 사회성이 발달되지 않아 상대방의 감정을 이해하지 못하고 자신의 생각대로 행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처음보는 사람을 뚫어지게 바라보는 것은 호기심 때문일 수도 있고, 불안감이나 경계심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이는 아이들마다 다를 수 있으며 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해결되는 문제이므로 크게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그러나 만약 아이가 지속적으로 특정 인물이나 상황에 대해 공포나 불안감을 느낀다면 전문가와 상담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부모님께서는 아이가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고 소통할 수 있도록 기회를 만들어주시는 것이 좋으며,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가르쳐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니 큰 걱정안하셔도 될듯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특별히 문제가 된다거 하진 않고 정상적인 발달 과정 중 하나로 볼 수 있어요. 다만, 이유는 여러 가지 안이 있을 듯 하네요. 호기심일 수도 있고, 낯가림일 수도 있고요. 언어적인 능력이 발달되면서 나아질 수 있는 부분이므로 크게 염려하지 않아도 될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두돌이 지나게되면 사람들을 인지하고 기억을 합니다. 따라서 자주 보는 사람의 경우에는 보게 되면 기억을 한다고 합니다. 처음 보는 사람의 경우에는 낯을 가릴수가 있기 떄문에 계속해서 쳐다본다고 합니다. 아이들이 인지하는 능력이 향상되어서 계속해서 보는것으로 아이가 잘 자라고 있는것으로 판단하시면 되겠습니다. 아이와 친해지기 위해서는 자주 보는게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기는 새로운 것을 보면 시선을 빼앗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처음 보는 사람이기에 낯이 눈에 익지않아서 그러할 가능성이 매우큽니다. 시간이 갈수록 새롭고 낯선 사람들에 익숙해진다면 해당 행동은 줄어들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어린아이들도 처음보거나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을 보게 될때는 상대방에 대해 호기심을 갖고 탐색을 하기위해 쳐다봅니다. 이는 시간이 지나 얼굴이 익숙해지면 다가가기도 하고 말도 하고 장난도 치기도 하는 성장과정에서의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두돌 지난 아기가 처음 보는 사람을 계속 쳐다보는 것은 호기심과 낯선 환경에 대한 반응입니다. 이 시기 아기들은 새로운 자극에 강한 관심을 보이며, 낯선 얼굴을 관찰하며 주변 세계를 이해하려고 하기 때문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