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복의 표시로 하얀 색 깃발을 내걸고 적진으로 가는 이유는?
그게 어떤 나라를 배경으로 하는
영화이건 드라마 이건
다큐멘터리 이건 간에
시대와 장소를 불문하고
전장에서 항복의 의미 및 무장을 하지 않았다 라는 의미를 표시할 때는
꼭 하얀 천으로 된 깃발을 들고
적진으로 향하거나
후퇴하거나 하는 모습을 보여주는데요?
나라마다 언어도 다르고
문화도 다르고
규칙도 다 다른데
전장에서 만큼은
왜 비무장이다, 항복이다 하는 의미로
모두 하얀깃발을 내거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
몇가지 설이 있습니다.
국기는 나라마다 각양각색인데 염색되지 않은 하얀 천을 들어 올리는 것은 이 백기에 물을 들여 당신의 국기를 만들어도 좋다는 의미에서 항복으로 쓰인다고 합니다.
또한 전쟁중에 항복을 하기 위해서는 눈에 잘 띄고 쉽게 구할 수 있어야 하는데 백기가 이에 적합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참고로 국제적으로 백기가 항복의 표시라는 정식 규칙이 정해진 것은 1907년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개최되었던 만국평화회의에서였습니다.
백기는 전투 중에 교전 의사가 없음을 나타내는 상징적 의미입니다. 이는 1907년 네덜란드에서 열린 국게 평화 회의에서 백기를 항복의 공식 상징으로 채택했습니다.
그런데, 사실 고대 중국과 로마에서 이미 오래된 관습적으로 항복을 의미하는 뜻으로 사용되었습니다. 1~3세기 중국 한 왕조 때 유래되었으며, 비슷한 시기의 로마에서도 사용된 것으로 보입니다.
염료기술이 발달하지 않았던 시절 가장 쉽게 구할수 있었고, 전투 현장에 널린 형형색색의 깃발과 구분이 잘 되었기 때문에 흰색 깃발을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