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보이스
보이스

이번 23년 7월말 해운대 해수욕장에 방문했는데 물이 너무 차갑더라고요, 이게 냉수대 라고 하던데 냉수대가 생기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이번 23년 7월말 해운대 해수욕장에 방문했는데 물이 너무 차갑더라고요, 이게 냉수대 라고 하던데 냉수대가 생기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활달한파리매77
      활달한파리매77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냉수대가 생기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이유는 바닷물의 온도 차이입니다. 바닷물은 표면이 가장 따뜻하고, 깊어질수록 점점 차가워집니다. 이 때문에 표면의 바닷물과 깊은 바닷물의 온도가 다르게 나타나고, 그 차이로 인해 냉수대가 생깁니다.

      또 다른 이유는 바람입니다. 바람은 바닷물의 표면을 움직이게 하고, 이로 인해 바닷물의 온도가 달라집니다. 바람이 강하게 불면 바닷물의 표면이 더 많이 움직이고, 그로 인해 바닷물의 온도 차이가 커집니다.

      마지막으로, 해류도 냉수대가 생기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 해류는 바닷물을 이동시키고, 이로 인해 바닷물의 온도가 달라집니다. 해류가 강하게 흐르면 바닷물의 이동이 더 많아지고, 그로 인해 바닷물의 온도 차이가 커집니다.

      냉수대는 해양 생태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냉수대는 많은 어종의 서식지이며, 또한 기후 조절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냉수대가 사라지면 해양 생태계가 크게 위협받고, 또한 기후 변화가 가속화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원인은 해류의 흐름에 의해서 발생되게 됩니다.

      찬물과 따뜻한 물이 만나면 섞이지 못하고 찬물이 덩어리 형태로 존재하게 되는데 바로 이 것을 냉수대 라고 합니다.

      바람 등 환경의 영향을 특히 많이 받고 바닷물 내 염분의 양에 따라서도 이 움직임에 영향을 줍니다.

    • 해수는 바람에 의해 이동합니다. 표면에 부는 바람과의 마찰 때문에 일어나는 일입니다. 북반구에서는 표면에서는 바람이 불어가는 방향의 오른쪽 45도 방향으로 이동하며, 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해수의 이동 방향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합니다. 해수의 이동 방향이 표면과 정반대가 되는 곳까지를 에크만층 또는 마찰저항심도라고 합니다. 이 깊이까지의 해수의 이동방향을 계산하면 전체적으로 바람이 불어가는 방향에 대해 직각 오른쪽으로 이동합니다. 우리나라의 여름에는 주로 남풍계열의 바람이 붑니다. 남풍은 남쪽에서 북쪽으로 부는 바람이므로 남풍이 부는 경우 해수는 동쪽으로 이동합니다. 남동해안이나 동해안에서는 육지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표층 해수가 이동하는 것입니다. 표층 해수가 육지에서 먼바다 쪽으로 이동하면 아래쪽에 있던 차가운 물이 올라옵니다. 이것을 용승이라고 합니다. 연안을 따라 용승이 일어나므로 차가운 물의 띠, 즉 냉수대가 형성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남풍이 지속적으로 부는 경우 기온은 높아도 연안 해수의 온도는 낮은 경우가 생깁니다. 이 경우 해수욕장은 임시 폐쇄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냉수대는 해류의 흐름에 의해 생기는 찬물의 덩어리입니다. 해류는 바닷물의 온도 염분 함량 밀도, 바람의 세기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움직입니다. 해류가 움직이면서 찬물과 따뜻한 물이 만나면 찬물의 덩어리가 생기는데 이를 냉수대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해운대 해수욕장에서 물이 너무 차갑게 느껴지는 이유는 "냉수대" 현상 때문입니다. 이 현상은 다음과 같은 원리로 발생합니다.

      해안 지역에서는 일반적으로 해류가 발생하며, 이는 바다의 물이 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흐름을 말합니다. 해운대 해수욕장은 차갑게 느껴지는 물이 흐르는 해류의 영향을 받습니다.

      냉수대는 주로 해류가 심한 지역에서 발생하는데, 해류가 해안으로 물을 이동시키면서 차가운 물이 상당량 공급되기 때문입니다. 이는 차가운 해류가 해안으로 이동하면서 더 따뜻한 표층 물을 밀어내고, 그 자리에 차갑고 깊은 수심의 물이 올라오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