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김기표
김기표

다우지수에 편입 됐을 때 마이너스 요인이 있나요?

다우든 s&p500이든 지수에 편입 됐을 때 추종하는 펀드들의 자금이 유입되는 플러스 방향, 무언의 지위 정도만 생각이 되는데

다우의 저주, 다우 효과 거리면서 다우지수 편입되면 행후 성장이 좋지 않다는둥의 이야기가 있는데 지수 편입이 나쁘게 작용할 요인이 있을까요?

아니면 인과는 없이 통계 내다 우연히 나온 결과일까요?

총합이 플러스냐, 마이너스냐가 아니라 "마이너스요인이 있는가? 있다면 무엇인가"의 관점에서 답변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다우지수에 편입될 때 긍정적인 효과가 많지만 마이너스 요인도 존재합니다.

    첫째, 기대치 증가로 인해 주가 상승 기대가 커지지만, 이 기대를 충족하지 못하면 실망감으로 주가가 급락할 수 있습니다.

    둘째, 투자자 집중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단기 변동성이 커지고 외부 요인에 더 민감해질 수 있습니다.

    셋째, 지수의 영향으로 인해 주가가 높은 기업의 변동성이 지수 전체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 특정 기업의 하락이 전체 지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넷째, 통계적으로 나타나는 다우의 저주로 인해 편입 후 기업 성과가 저조한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편입 후 주가가 급등한 뒤 안정화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다우존스에 편입이 된다면 향후

    성장성이 떨어졌던 기업들이 있습니다만

    이는 기업마다 천차만별인 것이며 주가가 떨어질

    기업들은 어느정도 우연이 일치한 것으로 보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다우지수 편입 자체가 특정 기업에 마이너스 요인이 되지는 않지만,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편입이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기대감에 따른 차익 실현 매도:

    다우지수 편입 발표 후, 주가가 상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편입 후 기대감이 어느 정도 소진되면 일부 투자자들이 차익을 실현하기 위해 매도할 수 있어 주가가 조정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더 엄격한 규제와 주목:

    다우지수 편입 기업은 더 많은 규제와 기관의 감시를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환경, 사회, 지배구조(ESG) 관련 요건이 엄격해질 수 있습니다.

    이런 부분이 투자자들에게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단기 주가 변동성 증가:

    다우지수에 새로 편입된 주식은 일시적인 수급 불균형으로 인해 주가 변동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