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가 특정 상황에서 불안을 느끼며 회피 행동을 보일 때, 이를 어떻게 지도해야 할까요?
유아가 특정 상황에서 불안을 느끼며 회피 행동을 보일 때, 이를 어떻게 지도해야 할까요? 불안을 느끼며 회피 행동을 보일때 대응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유아가 불안을 느끼며 회피 행동을 보일 때는, 먼저 불안의 원인을 파악하고 유아의 감정을 인정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공감을 표현한 후, 작은 단계부터 도전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긍정적인 강화로 용기를 북돋우며, 성취했을 때 칭찬해주어 자신감을 키우도록 합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불안함을 느끼며 그 상황을 회피를 하는 것은 그만큼 무섭고 공포스럽고 생각하기도 싫은 순간이기 때문 일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아이의 심리적인 부분의 힘듦이 가장 클 것이기 때문에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봐주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어떤 행동을 불안해 하거나 불편해 하는 것은 아이가 좋지 못한 기억이 있어 상황을 피하려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낯선 사람에 대해 불안해 하거나 하는 행동을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보통은 위험하지 않다고 믿을 수 있는 부모님이 말해주고 상황을 많이 노출 시켜 주는 것으로 좋아 지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먼저 아이의 감정을 인정하고 공감해주세요
불안해 하는 상황에는 항상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부모님이 함께 있어 주세요.
그리고 그 불안을 바로 극복하려고 하지 말고 조금씩 나누어 접근해 주세요
부모가 불안에 차분히 대처하는 모습을 보여주세요.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회피할때 너무 다그치시면 안됩니다. 부모님과 사이가 서로, 상호작용을 꾸준히 해야 합니다. 아이와 충분히 대화에 나누면서 아이의 감정 상태가 어떤지 심리적인 면은 어떠한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살고 있는지 요즘에 관심사는 무엇인지 같이 아이의 전반적인 상태에 대해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상호작용을 꾸준히 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아이 감정은 안정적으로 발달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아이들의 경우에는 불안을 느낄때 하는 행동 패턴이 다 다르다고 합니다. 회피를 하거나 무서워 하거나 이를 돌파하는 등의 유형을 볼 수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회피를 하는 경우가 가장 좋지 않다고 합니다. 이는 어른이 되어서도 무언가 불안한 사항이나 하기 싫은 사항이 오면 회피를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회피를 하도록 두는것이 아니가 아이가 이것을 이겨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시는게 중요하다고 보입니다. 이러한 것을 솔선수범해서 보여주시는게 중요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