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로맨틱한발발이142
로맨틱한발발이14224.04.08

태종이 시행한 6조 직계제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태종의 왕권강화 정책 중 6조 직계제는 어떤 제도였나요?

이전에 시행중이었던 의정부 서사제와 비교해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6조직계제는 조선시대 6조의 판서가 나랏일을 왕에게 직접 보고하도록 한 제도를 말합니다.

    6조에서 논의한 것이 의정부를 거치지 않고 국왕에게 직접 전달되도록 하는 정치체제입니다. 의정부를 거쳐 국왕에게 전달되는 의정부 서사제와 대립되는 체제로, 1414년 태종 때 국왕의 권력이 강화되면서 의정부 중심의 훈신세력을 약화시키고 양반관료층 중심의 국정을 운영하려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6조의 권한은 6조직계제의 경우와 의정부 서사제의 경우에 따라 변동이 있기는 했지만, 1436(세종 18)년부터 대체로 모든 실무는 6조에서 처리되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의정부 정승들은 거치지 않고 6조에서 왕에게

    직접 보고를 하여 정승들의 힘을 빼고 왕권을

    강화시킨 정책으로 정도전과 반대의 정책을

    시행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6조 직계제는 조선시대 태종 때 시행된 왕권 강화 정책으로, 6조의 판서들이 왕에게 직접 보고하고 결정을 내리는 제도입니다. 이는 이전에 시행되던 의정부 서사제와는 다른 방식으로, 왕의 권한을 강화하고 의정부의 권한을 제한하는 효과가 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6조 직계제라는 것은 어떤 사안이 생겼을 때, 6조에서 이러한 모든 사안의 보고를 국왕에게 "직접" 하는 방식입니다. 의정부에서 의견을 내고 함께 업무를 처리할 수는 있지만, 왕이 직접 6조에게 보고를 받게 된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의정부 서사제에 비해서 의사 결정이 뻐르고 왕의 권한이 강화된다는 장점이 존재 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인문·예술 전문가 조유성 AFPK 입니다.

    ✅️ 6조 직계제는 6조의 업무를 의정부에서 논의하지 않게 하고 바로 국왕에게 계달해서 처리하는 것으로써, 신권보다는 왕권을 더 중시한 제도입니다. 반면 서사제는 왕권과 신권의 조화를 추구한 제도로써, 6조 -> 의정부 -> 국왕의 계달 체계를 갖추었다는 점에서 직계제보다 조금 더 조화로움을 추구하는 제도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