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리하파파
리하파파

전세계에 감염병이 유행하면 왜 주식시장은 안좋은건가요?

주식을 2년정도 하고 있는데요 코로나로 주식시장이 안좋았다가 계속 상승하다가 요즘은 주식시장이 좋지않은데요 지금은 원숭이 두창이 번지고 있다는 뉴스를 봤습니다 세계적으로 감염병이 유행하면 왜 주식시장은 안좋아지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윤식 AFPK/경제·금융/보험전문가입니다.

      코로나19때와 마찬가지로 전염병으로 인해 경제가 침체 우려가 가장큰 주식시장에 악재입니다. 현재 코로나19가 해소되려고하는 시점에 원숭이두창 등으로 다시 관련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전세계적으로 감염병이 창궐하게되면 경기침체가 올만한 상황이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전염병을 막기위해 국가들간 유입이 제한되고, 인력들이 제대로 일을 하지 못하며, 그에따라 소비도 줄고 생산도 줄게됩니다.

      기업의 가치를 반영하는 주식시장에는 당연히 안좋은 영향이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국내 주식시장에 대한 전망이 항상 바뀌고 있습니다. 연초만 해도 국내외 정세 자체가 미국의 테이퍼링, 금리인상 우리나라의 금리인상, 양적긴축 등으로 주식 등 자산가격에는 악영향이 미칠 요소들이 존재하나 결국에는 정상적인 경제상황으로 돌아가 우상향할것이라는 전망이 많았으나,

      코로나의 종식이 되지 않고 있고, 우크라이나VS러시아의 지정학적 위험에 따라 현재 원유 및 원재료가격 폭등등의 상황을 맞아 여러 자산가격의 수치가 좋지 못합니다.

      2022년에는 자산가격시장에 어느정도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위기는 곧 기회가 되기 때문에 무리되지 않는 선에서 소액을 주기적으로 매수하신다면 장기적으로 보았을때 향후 큰 수익이될 수 있을 것입니다.

      주식은 기본적&기술적분석이 모두 필요합니다.

      기본적 분석 (fundamental analysis)은 기업의 재무제표, 건전성, 경영, 경쟁우위성, 경쟁상대, 시장 등을 분석하는 것입니다.. 선물이나 환율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경제, 금리, 제품, 임금, 기업 경영의 전반적인 상황에 주목합니다.

      코인의 경우에는 해당 코인의 백서 등을 통해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기술적 분석(technical analysis)은 주식 시장을 비롯한 금융 시장을 분석하고 예측하는 기법 가운데 하나로서 주로 시세 동향 그래프(차트)를 이용해 분석합니다.

      마지막으로 주식투자를 하실때에는 개개인의 성향에 따라 적절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야 한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투자자는 본인의 선호에 따라 투자 목적에 부합하는 여러 투자대상을 소유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여러 투자자산의 집합을 포트폴리오라고 합니다.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자산이 많아질수록 위험은 줄어듭니다. 하지만 자산을 무한대로 증가시켜도 줄어들지 않는 부분이 있습니다. 따라서 아무리 효율적으로 분산 투자하여도 위험을 평균공분산 이하로는 감소시킬 수 없습니다.

      비체계적 위험: 포트폴리오의 분산투자로 제거할 수 있는 위험(분산 가능한 위험, 기업 고유의 위험)입니다. 종업원의 파업, 법적 문제, 판매의 부진 등 개별주식을 발행하는 기업의 특수한 상황과 관련됩니다. 기업의 특수사정으로 인한 위험은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분산투자를 함으로써 위험 제거 가능합니다.

      체계적 위험: 포트폴리오의 분산투자로 제거할 수 없는 위험(분산 불능 위험, 시장위험)입니다. 시장의 전반적인 상황과 관련이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이자율의 변화 등 여러 기업들에게 공통적으로 영향을 주는 경기와 관련된 요인에 영향을 받습니다.

    • 현재의 증시는 원숭이 두창에 따른 감염병보다는 미국연준의 빅스텝,자이언트 스탭등 금리인상과 7월달로 계속되는 금리인상에 전쟁으로인한 곡물공급 불안정으로 고인플레이션 영향력으로 투자심리위축 및 외인투자유출이 지속되는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코로나19로 인해 민간소비와 기업의 생산·투자가 감소하는 등 경제활동이 크게 위축되기 때문입니다. 중국의 경우 도시봉쇄, 생산차질 등이 발생하면서 1~2월 수출이 전년동기대비 17.2% 감소 하였고 2월 제조업 PMI2)도 전월(50.0)보다 14.3p 감소한 35.7로 급락하고 미국의 경우 항공, 호텔, 외식 산업 등이 타격을 받고 있으며 미국 2분기 GDP가 최대 –30% 까지 급락할 위험성도 있습니다. 독일, 이탈리아 등 유럽 주요국에서 이동제한과 도시봉쇄 등이 시행되면서 유로존 소비심리 지수가 2월 –6.6에서 3월초 –11.6으로 급락하였고 부품조달 문제와 공장폐쇄 등으로 생산 차질이 발생하면서 경기회복이 지연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주식시장이 안좋아지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