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색다른콜리160
색다른콜리16023.03.30

작품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가장 중요한가요?

작품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가장 중요한가요?

예컨대, 회화 작품의 경우에는 작가의 취지, 컬러 팔레트, 조형적 요소, 빛과 그림자의 사용 등이 중요한가요?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할 때, 특정 작품에서 이러한 요소들 중 어떤 것이 가장 강조되어 표현되었는지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회화 작품을 대할 때 작가가 누구인지가 일차적인 관심일 것 같습니다. 만일 내가 아는 작가라면 그동안의 작가의 다른 작품들과 비교하며 감상하겠죠.

    가령 이우환(1936~ ) 화백은 1970년대에 점을 주제로 그리다가 선으로 이어졌고 색, 방향의 변화를 시도하다 1980년대에 바람의 이미지를 그리더니 다시금 초기의 점으로 돌아갑니다.

    이처럼 내가 아는 작가의 작품이라면 이 작품이 어느 시기의 작품이고 어떤 조형적 특징과 실험이 담겨 있나를 고려하면서 감상하게 됩니다.

    만일 내가 모르는 신진작가의 작품을 대한다면 이때에는 총제적인 관심을 기울이며 감상하게 될 것입니다.

    우선은 형상, 색채, 구도 등을 통해서 전체적인 이미지와 분위기를 파악하게 됩니다. 이 작품이 서양화인지, 한국화인지, 서양화라면 사실적으로 그린 작품인지 아니면 추상계열인지, 추상계열이라면 초현실적 요소가 있는지 없는지 등을 관찰할 것입니다.

    가령 신진 작가 가운데 '태우'라는 한국화 작가가 있습니다. 이 작가의 작품을 처음 보면 기존의 한국화와 달리 밝은 원색이 사용된 것이 눈에 띕니다. 그래서 사용 재료를 살펴보면 먹 이외에 서양화에 쓰이는 아크릴을 사용한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그리고 조형적 요소에서 전통 산수화에 등장하는 산, 계곡, 나무, 꽃, 새 등의 이미지가 마치 평면 타일처럼 독특하게 표현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이처럼 감상을 이어가면 어느 정도 작품의 형식적 특징에 대해서는 감을 잡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작가의 예술관이나 작품을 통해 무엇을 이야기하고 싶은가 하는 것은 작가에게 직접 들어야만 알 수 있을 것입니다.

    태우 작가의 인터뷰 중 한 부분을 옮겨봅니다.

    기자 : ‘현대적인 산수화’라는 특징적인 장르를 통해 크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앞으로 어떤 작업들을 해나가고 싶은가요?

    태우 작가 : 앞으로의 작업, 그리고 작가로서의 목표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해봤습니다. 저는 누워서 유람한다는, ‘와유사상’을 통해 일상의 풍경을 담는 작업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20대 일상의 풍경은 지금과 달랐고, 지금처럼 아기와 함께 누리는 생활은 또 다른 모습을 그리게 합니다. 그렇다면 내가 노년이 되었을 때는 과연 어떤 메시지를 전달할까? 아직은 모르겠습니다. 다만, 항상 자유롭고, 행복한 일상을 누리며, 그것을 그리는 작업을 해나가고 싶습니다. 즐겁고 행복하게 살고 싶은 것이 큰 목적이고, 그 즐거움을 잘 전달하고 싶어요. 지금은 아이들과 노는 것, 그리고 가장으로서 삶을 헤쳐나가는 것을 즐기고 있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