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

수술후 9일만에 mri 찍어야 한다던데 폐쇄공포증이 있어서 걱정인데 다른 검사 방법은 없나요?

성별
여성
나이대
48

수술전 검사시 mri 찍다가 답답하고 숨이 안쉬어져서 5분 남겨두고 멈췄습니다.

꼭 mri를 찍어야 하나요? 다른 검사 방법은 없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수술 후에 MRI 검사를 권유받으신 상황이시군요. 폐쇄공포증이 있으셔서 MRI 검사에 대한 걱정이 크신 것 같습니다. MRI는 수술 후 경과를 확인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검사입니다. 하지만 폐쇄공포증으로 인해 검사 자체가 큰 부담이 된다면 대안에 대해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우선, MRI를 진행할 때 폐쇄공포증을 완화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검사 전에 이완제를 복용하거나, 검사를 할 때 이어폰을 통해 음악을 듣는 등 긴장을 줄이는 방법을 시도해보실 수 있습니다. 만약 이러한 방법도 어려우시다면, 병원에서 개방형 MRI를 제공하는지 문의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개방형 MRI는 상대적으로 공간이 넓어 폐쇄공포증을 덜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전문의와 상담하여 CT 또는 초음파와 같은 다른 검사로 대체할 수 있는지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이들 검사는 MRI와는 다른 방식으로 몸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각 검사의 장단점이 달라 수술 후 필요한 정보를 얼마나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제가 드린 설명이 조금이라도 질문자분께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필요한 경우, 적절한 검사 선택을 위해 전문의와 더 깊이 논의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MRI는 뇌, 척수, 관절, 근육, 간 등 신체 내부의 다양한 구조를 매우 자세하게 볼 수 있는 검사로, 특정 질환의 진단이나 수술 후 상태 평가에 있어서 CT, X선, 초음파 등 다른 영상검사로 대체가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불안이 심할 경우 의사와 상의하여 진정제를 복용하거나, 수면마취(전신 마취는 아니고 진정 수준)를 통해 검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검사 중 불안을 거의 느끼지 않게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