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매도의 경우 만약 기존 가격보다 주가가 오르게 되면 손해부분은 자신이 채워 넣는 건가요?
공매도의 경우 주가가 하락할 것이라 생각할 때
빌려서 매도후 주가가 떨어지면 다시 사서 갚는 것이라고 알고 있는데
만약 주가가 오히려 오르게 되면
그만큼의 차액만큼 본인이 채워 넣는 구조인가요?
그리고 공매도는 하락을 예측할 때만 쓰는 투자기법인 것 같은데
상승을 예측할 때는 공매도 같은 상승에 배팅하는 다른 투자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채워 넣어야 한다는 개념으로 이해하면 어렵습니다
공매도는 심플하게 생각해서 내가 주식을 빌렸다가 주식으로 갚는 상품입니다
즉 말씀하신대로 대가 주가가 10,000원일 때 빌려서 팔고 현금 10,000원을 쥐고 있는데
상환일에 주가가 15,000원이 되었다면 내가 15,000원을 주고 주식을 사서 갚아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단순계산으로 5천원의 손실이 발생하는 상품입니다.
하락에 배팅하는 상품은 공매도 외에 인버스에 투자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맞습니다. 공매도 투자를 했는데 만약에 가격이 오르게 된다면 그 오른 가격만큼 손해를 보는 셈이죠. 다시 주식을 사서 상환해야 하는데 그때 오른 가격으로 주식을 사서 다시 갚아야 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공매도의 경우 만약에 주가가 상승하면 그만큼은 자신의 예수금에서 차액부분만큼 납입이 되어야 합니다.
상승을 예측할때에는 그저 주식 현물을 투자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공매도의 경우, 만약 기존 가격보다 주가가 오르게 되면 손해부분은 자신이 채워 넣어야 합니다.
공매도는 하락을 예측할 때만 쓰는 투자기법이므로, 상승을 예측할 때는 선물, 옵션 거래를 이용해 수익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공매도는 현재가격으로 주식을 미리 팔고 약정된 기일내에 해당 주식을 구입해서 결제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주식이 만원이었을 때 공매도를 했는데 주식이 이만원이 되면 공매도로 만원을 얻고 나중에 2만원으로 주식을 사서 갚아야하니 만원의 손실이 생기는 것입니다.
상승을 예측할 때는 공매수를 진행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공매도의 경우 기존 가격보다 주가가 오르게 되면 손해 부분은 자신이 채워 넣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말씀대로 공매도칠 때의 가격보다 주가가 오르게 되면
반대로 자신이 그 부분에 대해서 손실을 보게 되는 구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