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에 관한 3가지 질문있습니다!!
원생생물에 광합성을 하며 단세포인 종이 포함되나요?
진균류는 영양분을 환경에서 흡수하고 원핵세포를 갖는건가요?
고세균은 위족운동으로 이동하나요?
안녕하세요.
차례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맞습니다. 원생생물(Protista)에는 광합성을 하면서 단세포로 존재하는 종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를 들어보면, 유글레나(Euglena)와 와편모조류(Dinoflagellates), 규조(Diatoms)가 있습니다. 이들은 엽록체를 가지고 있어 빛 에너지를 사용하여 광합성을 통해 스스로 영양분을 합성할 수 있습니다. 이들은 대부분 단세포로 존재하며, 물속에서 독립적으로 생활하거나 다른 생물과 공생하기도 합니다.
2. 진균류(Fungi)는 영양분을 환경에서 흡수하는 종속영양생물(heterotroph)입니다. 이들은 세포 외부에서 효소를 분비하여 유기물을 분해하고, 그 분해된 영양소를 흡수하는 방식을 통해 영양분을 얻습니다. 그러나 진균류는 진핵세포(eukarytotic cells)를 가지고 있으며, 핵과 막으로 둘러싸인 세포 소기관을 지니고 있습니다. 따라서 원핵세포(prokaryotic cells)가 아닌 진핵세포로 구성된 생물입니다.
3. 고세균(Archaea)은 위족운동(pseudopodia)으로 이동하지 않습니다. 위족운동은 아메바와 같은 일부 원생생물이 세포의 일부를 확장하여 이동하는 방식으로, 고세균이 사용하는 이동 방식과는 다릅니다. 고세균은 주로 편모(flagella)나 다른 운동 구조를 통해 이동하며, 일부는 이동하지 않고 극한 환경에서 서식하며 생존하는데 중점을 둡니다.원생생물 중에는 광합성을 하며 단세포인 종이 포함됩니다. 예로는 녹조류나 갈조류 같은 광합성 단세포 생물들이 있습니다. 진균류는 환경에서 영양분을 흡수하지만, 원핵세포가 아닌 진핵세포를 갖습니다. 고세균은 위족운동으로 이동하지 않으며, 대개 편모나 다른 방법으로 이동합니다.
1. 네, 원생생물 중에는 광합성을 하며 단세포인 종이 많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녹조류, 규조류, 유글레나 등을 들 수 있습니다.
녹조류는 흔히 볼 수 있는 녹색의 단세포 생물로, 엽록체를 가지고 있어 광합성을 합니다. 물속이나 습한 곳에서 흔히 서식하며, 플랑크톤이라 하면 보통 이 녹조류를 의미합니다.
규조류는 그 이름 그래도 규조 껍질을 가진 단세포 생물로, 바다 플랑크톤의 일종입니다. 광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얻으며, 지구상에서 산소 생산에 큰 기여를 합니다.
유글레나는 엽록체를 가지고 있어 광합성을 할 수 있지만, 동물처럼 편모를 이용해 이동하기도 하는 생물입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원생생물이 광합성을 하며 단세포로 살아갑니다.
2. 진균류는 영양분을 환경에서 흡수하지만, 원핵세포를 갖는 것은 아닙니다.
진균류는 소화 효소를 분비하여 주변의 유기물을 분해한 후, 그 분해된 영양분을 흡수하여 살아갑니다. 진균류는 핵과 미토콘드리아 등의 세포 소기관을 가지는 진핵세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반면, 원핵세포는 핵과 막으로 둘러싸인 세포 소기관이 없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진균류는 세포 구조 면에서 원핵생물과는 확연히 다릅니다.
3. 일반적으로 고세균은 위족운동으로 이동하지 않습니다.
위족은 세포막이 뻗어 나와 물체를 잡아먹거나 이동하는 데 사용되는 세포의 일부입니다. 아메바처럼 위족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생물들이 있습니다.
고세균은 편모나 섬모를 이용하여 이동하거나, 단순히 미끄러지듯 이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위족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고세균은 알려진 바가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원생생물중에서 광합성을하면서도 단세포종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원생생물인 유글레나라는 생물은 엽록소를 갖고있어 광합성이 가능하지만,
동시에 먹이를 섭취할 수 있는 특징도있습니다. 그래서 일부는 식물, 일부는 동물의특성을
동시에 갖고있습니다.
진균류는 진핵세포를 갖고있고, 원핵세포가 아니며, 핵막으로 둘러싸인 핵을 갖고있습니다.
고세균은 위족운동으로 이동하지는 않고 편모나 섬모를 이용해서 이동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