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고1 통합과학 산화, 환원 문제입니다!
4번 문제가 이해가 잘 안됩니다ㅜㅜ Fe는 산화수 규칙으로 산화가 되는 것은 알겠는데, H+는 왜 산화수 규칙으로 적용이 안되나요? 왜 전자를 얻고 수소가 되는거죠ㅜㅜ???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질문주신 문제에서 고려해야할 점은 산화-환원 반응의 동시성입니다.
문제에서 Fe가 전자를 잃어(산화) Fe³⁺가 되고, H⁺는 그 전자를 받아(환원) H₂가 됩니다. 여기서 H⁺의 산화수가 규칙처럼 +1 → 0이 되므로 환원이라고 생각하면 되는데, 아마 헷갈린 이유는 양성자(H⁺)가 전자를 받고 바로 H₂(기체) 형태로 묶여 나온다는 점 때문입니다.
즉 수소에도 산화수 규칙이 적용됩니다. 다만 H⁺가 전자를 받으면 원자 상태의 H(산화수 0)가 되고, 이것이 2개 모여 H₂를 만든 것입니다.
산화수 규칙으로 보면 반응 전 HCl 안에서 H⁺의 산화수는 +1이고 반응 후 발생하는 기체인 H₂ 안의 H의 산화수는 0입니다. 즉, H⁺는 +1 → 0이기 때문에 산화수가 감소 하므로 전자를 얻는 반응인 환원이 일어난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