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경제가좋아지면 금리도 내려가는건가여?
제가나이가좀있어도 경제나 나라돌아가는거를 잘모르는데요ㅠㅠ 이제부터라도 뉴스같은걸 챙겨볼려하는데 올해경기가좋아지면 금리가 내려갈까여?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가 좋아져야 한다기 보다는 반대로 경기가 안좋아져야만 금리가 내려갑니다.
그 이유는 금리는 화폐의 가치이기도 합니다. 금리가 올라간다는 것은 화폐의 가치가 상승, 즉 현금 보유에 대한 매력이 올라가는 것 입니다. 이렇게 되면 사람들은 소비를 오늘 하기보다는 미래로 미루는 경향을 나타나게 됩니다.
소비가 감소하면 기업 매출과 이익이 감소하게 되면서 경기가 침체로 빠지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중앙은행에서는 금리는 낮춰서 소비를 촉진 시키는 등, 경기부양에 나서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영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통은 경제가 좋아지면 금리를 올립니다.
경기가 좋으니 금리를 올려도 버틸 수 있을 것이란 생각과 더불어 경기가 좋아지면 과열이 되면서 버블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올해 경기가 좋아지면 금리를 내리는 것이 아니라, 물가가 잡혔다는 생각이 들면 금리를 내릴 겁니다.
아니면 반대로 경기를 좋아지게 하기 위해 금리를 내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가 좋아진다고 해서 무조건 금리가 좋아진다는 의미는 아닙니다만, 현재의 금리 인상 정책 자체가 물가상승에 기인한 긴축정책의 일환으로서 물가상승에 대한 지표가 조금 내려간다면 다시 금리 인하를 논의해볼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의 경우 오히려 경기침체 우려가 심화되어야 경제활성화 정책으로 금리인하 정책이 고려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통과 같은 경우에는 경기가 좋아진다면
금리가 내려가지는 않습니다.
경기가 침체되어 경기를 부양하기 위하여 금리를
내리는 경우가 많으므로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기가 좋아지면 오히려 금리가 인하되지 않을것입니다. 금리인하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인플레이션율이 하락하는 것입니다. 인플레이션이 감소하지 않는다면 금리가 인하되는일이 없을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돈석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경기가 좋아진다는 것은 수요가 죽지 않고 활발하다는 의미입니다.
즉, 소비 여력이 있다는 것인데요.
이렇게 되면 공급보다는 수요가 활발해서 금리를 인하하면서 경기를 부양시키기 보다는
경기과열로 인해 금리를 인상하면서 시중에 풀린 돈을 회수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지금과 같이 금리를 인상하면 경기가 꺾인다고 보시면 됩니다.
금리를 내린다는 건 시중에 돈을 풀어 경기를 살리겠다는 의미로 보시면 되는데
경기가 좋은데 금리를 내리진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안녕하세요.
보통 금리는 시중에 돈이 많이 풀렸을때 인상을 하게 되고, 시중에 돈을 풀어 시장을 부흥해야 할때 인하를 하게 됩니다.
2020 3월 코로나 펜데믹 때 미국에서 기준금리를 대폭 하향 했던 이유와 마찬가지로, 소비심리가 줄어들고, 세계 경제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이 큰 경우 금리 인하를 하여 시중에 유통되는 통화를 증가시키게 됩니다.
2023년은 경기 침체를 예상하는 관점이 많습니다. 경기 침체의 경우 마찬가지로 금리 인하를 하여 돈을 풀게 되는데, 아직 이를 예단하기에는 시기상조로 보고 있고, 미국에서도 금리 인하에 대한 부분은 아직 언급조차도 이르다라는 입장입니다.
우리나라 기준금리는 미국 기준금리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므로, 미국을 포함한 세계경제 상황을 같이 참고 해보시면 좋을 듯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