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일전 붉은 달을 봤어요..붉은 달은 왜 그렇게 보이나요?
몇일전 달의 색깔이 붉은 색이 였습니다. 집이 김포인데 붉은색으로 보였거든요..그런데 서울로 가니 다시 원래 달 색으로 변해 있더군요..달의 색깔이 다르게 보이는 이유가 무었인가요?
지구 대기의 산란에 의해, 태양에서 나온 빛 중 파장이 짧은 파란색 ~ 보란색 빛이 산란되어
파장이 긴 붉은색만 남아 달이 붉은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이러한 것을 개기월식이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개기월식이 일어날 때 달이 붉은색으로 보이는 것은 지구 대기에 태양빛이 산란하면서 파장이 긴 적색광이 달 쪽으로 꺾여 들어가기 때문이다. 적색광이 달의 표면에서 반사돼 지구로 오면 붉게 보이게 된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대기에 불순 물질이 많을 경우, 파장이 긴 노란 색이나 붉은 색만 남고 다른 파장의 색은 산란되어 달이 붉은 색으로 보입니다. 반대로 대기에 불순물이 적은 경우에는 원래 색깔인 흰색 달을 볼 수 있는 거고요.
그러니 그럴 때는 대기 중에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 황사 등 불순물질이 많은 날일 수 있으므로, 일기예보를 살피고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경우 마스크 등을 착용하여 외출할 필요가 있습니다.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의 색은 달의 위치와 태양빛이 대기를 통과하면서 생기는 산란, 반사, 흡수의 성질에 의해서 달라지게 됩니다. 어쩔 때는 흰색, 노란색 등으로도 보이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개기월식 때 달이 붉게 보이는 현상을 가리킨다. 개기월식 때 달은 지구의 그림자에 가려서 태양 빛을 받지 못하게 되는데, 태양 빛이 완전히 차단되는 것은 아니고 태양 빛 중 파장이 긴 붉은빛이 지구를 거쳐서 달에 전달되기 때문에 지구에서 달이 붉게 보이게 된다.
blood moon(영어)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완전히 가려 태양 빛을 받지 못하고 어둡게 보이는 현상인 개기월식(皆旣月蝕) 때, 지구에서 달의 색깔이 붉게 보이는 것을 말한다. ‘레드문(red moon)’ 또는 ‘적월(赤月) 현상’이라고도 한다. 달이 지구 주위를 돌다가 ‘태양-지구-달’ 순서로 일직선에 놓이게 되면, 달은 지구의 그림자에 가려서 태양 빛을 받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태양 빛이 완전히 차단되는 것은 아니고 태양 빛 중 파장이 긴 붉은빛은 지구를 거쳐서 달에 전달된다. 즉, 태양 빛이 지구의 대기를 통과하면서 파장이 짧은 푸른빛은 대부분 흩어지나, 파장이 긴 붉은빛은 지구의 대기권을 통과하여 지구의 그림자 뒤에 있는 달까지 전달된다. 이 붉은빛을 받아 달이 지구에서 붉게 보이는 것이다. 지구의 대기 구성에 따라 달이 주황색, 갈색 등으로 보일 수 있다.
한편, 달의 명칭 중 블러드문과 같이 색깔이 들어가는 것으로는 ‘블루문(blue moon)’이 있다. 그러나 블루문은 푸른빛을 띠는 달이 아니라, 한 달에 보름달이 두 번 뜰 경우에 두 번째 뜬 보름달을 이르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