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고구려는 어떤 형태로 서역인들이 들어오고 무역을 하나요
과거 고구려는 벽화를 보면 서역인이 그려진것들이 발견되는데요
그렇다면 어떤 형태로 이 서역인들이 들어왔으며 무역은 어떻게 했을까요
고구려 벽화에는 서역 계통의 연희자들이 그려져 있으며, 이들은 고구려에서 공연을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우즈베크스탄의 사마르칸트의 아프로시압 궁전에는 7세기 소고드아 왕국 시기에 그려진 두명의 고구려 사신이 등장합니다.
이를 통해 고구려와 중앙아시아 간의 외교 관계가 있었다는 것을 증명합니다. 따라서 고구려는 서역 지역과 무역 등 교류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고구려의 대외교역은 북방의 유목국가와 서역국가와도 대단히 활발했습니다. 특히 5세기때 유연은 남쪽의 북위와 지속적으로 전쟁을 하는 통에 농업국가로부터 얻어야 하는 각종 산물을 고구려에게서 공급받아야 했습니다. 고구려는 유목국가가 가진 말,유제품,가죽제품 등을 받고, 그들에게 직물류,농산품등을 공급하는 교역을
했습니다.
또한 특이한 산물을 찾아서 멀리 서역의 국가들과도 교역을 했습니다. 사마르칸트에 새겨진 벽화를 보면 고구려 사신이 등장하는데 이는 고구려가 멀리 서역국가들과 교류를 했다는 중거입니다.
고구려의 복속민인 숙신의 경우 그들 대부분이 숲속에서 무리를 지어 살기 때문에 이들에게 필요한 각종 농산물이나 소금,차 등은 외부로부터 공급을 받아야 했습니다. 고구려는 이들에게 상인단을 보내 물자를 주고 그들에게서 특산물을 받았습니다. 고구려의 숙신 통제는 이러한 상업적 이익과 결부되어 있었습니다. 오늘날 시베리아 지방에서 순록을 키우며 사는 유목민에게까지도 고구려에서 상인단을 보내 교역을 했을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