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고매한크낙새25
고매한크낙새2523.06.19

경기선행지수, 동행지수, 후행지수를 알고 싶습니다.

경제나 주식에사 주로 다루는 경기선행지수, 동행지수, 후행지수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그리고 혹시 선행중에서도 가장 빠른게 있는지도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기선행지수에는 주가지수, 소비자심리지수, 건설수주액,재고순환지표, 장단기금리차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경기동행지수에는 산업생산지수나 수출입물가지수, 건설기성액, 내수출하지수, 광공업생산지수등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후행지수로는 소비재수입액, 생산자제품재고지수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락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선행지수로는 대표적으로 기업,가계소비심리가 있습니다. 향 후 투자나 소비를 할 지 물어보는걸로 선행지수입니다. 동행지수로는 공장가동율, 후행지수로는 고용률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기선행지수는 3-6개월 후의 경기흐름을 가늠하는 지표로 지수가 전월보다 올라가면 경기상승, 내려가면 경기하강을 의미한다. `선행종합지수'라고도 한다. 선행지수가 5, 6개월 하락하면 경기가 꺾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해석된다.

    동행지수는 현재 경기동향을 보여주는 지표로 노동투입량, 총산업생산지수(광업 제조업 전기가스제조업 포함), 제조업가동률지수, 생산자출하지수, 전력사용량, 도소매판매지수, 비내구소비재 출하지수, 시멘트소비량, 실질수출액, 실질수입액 등 10개 지표를 합성해 산출한다.

    후행지수는 현재의 경기를 나중에 확인하기 위해서 작성되는 지표로, 경기종합지수(CI·Composite Index)의 하나이다. 이는 재고지수, 비농가 실업률, 도시근로자수, 도시가계 소비지출, 소비재 수입액 등의 지표를 사용하며, 과거의 경제 상태를 나타낸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선행지수로는 재고순환지표, 경제심리지수, 기계류내수출하지수(선박제외)
    건설수주액, 수출입물가비율, 코스피지수, 장단기금리차 등이 있고

    동행지수로는 노동투입량, 총산업생산지수(광업 제조업 전기가스제조업 포함),

    제조업가동률지수, 생산자출하지수, 전력사용량, 도소매판매지수, 비내구소비재 출하지수,

    시멘트소비량, 실질수출액, 실질수입액 등 10개 지표를 합성해 산출합니다.

    후행지수는 재고지수, 비농가 실업률, 도시근로자수, 도시가계 소비지출, 소비재 수입액 등의

    지표를 사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나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기선행지수란, 가까운 장래의 경기동향을 예측하는 지표로 경기종합지수 중의 하나 입니다. 경기선행지수는 경기의 방향을 가리키며 지수가 전월보다 올라가면 경기상승, 내려가면 경기하강을 의미합니다.

    동행지수는 현재의 경기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지수이며, 경제 성장에 따라 증가하는 움직임과 경기 상승과 하강 움직임을 동시에 나타내고 있습니다.

    후행지수는 경기동향을 확인하는데 이용되는 지수로 기계류 수입액/ 생산자제품 재고 지수/ 도시가계 소비지출/ 회사채 유통수익률 등의 지표로 구성됩니다. 후행지수는 통계청에서 매월 작성 및 발표하고 있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기선행지수는 경제의 성장 또는 하락과 같은 경기 변동을 예측하는데 사용되는 지표입니다. 경기 변동은 일반적으로 경기 선행지수에 의해 예측되며, 이 지표는 경기 변동 전에 변화하는 경제 활동의 특성을 파악합니다. 경기선행지수는 경제의 앞선 선봉을 담당하며, 예를 들면 생산량, 신규 주문, 소비 동향 등이 있습니다.

    경기동행지수는 경제의 현재 상태를 반영하는 지표입니다. 경제의 동행지수는 경기 변동과 함께 움직이며, 경기의 균형 상태를 보여줍니다. 일반적으로 소비 지출, 산업 생산, 고용률 등이 동행지수로 사용됩니다. 동행지수는 경제의 현재 상황을 파악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경기후행지수는 경기 변동이 이미 발생한 후에 나타나는 지표입니다. 경제가 이미 성장하거나 하락한 후에 발표되는 지표로, 경기 변동의 지연된 효과를 반영합니다. 예를 들어 고용률, 주택 판매, 소비 지출 등이 후행지수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