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포 영화를 보는 것이 시원함을 느끼는 효과가 있나요?
요즘은 그런 공식이 좀 희미해졌지만 여름이면 공포영화의 개봉들도 많았고 공포영화를 감상함으로 더위를 해소할 수 있다고 하는데 과학적으로 연관이 있나요?
공포영화 감상과 체온 변화 또는 더위를 잊는 효과가 입증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공포영화를 보면 정말 시원해질지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우선, 먼저 우리 몸이 어떻게 추위와 더위를 느끼고 온도를 유지하는지를 알아야 하는데요, 인체는 항상 일정한 체온을 유지하려는 메커니즘을 갖고 있습니다. 뇌의 시상하부에는 체온 감지시스템이 있어 척추, 근육, 혈관, 피부 등에서 온도 변화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체온이 변할 때마다 수시로 대응책을 마련하는데요, 예를 들어 외부 온도가 높아지면 호흡이 가빠져 체내의 뜨거운 공기를 내뱉고 외부의 찬 공기를 들이마시며, 또 땀을 증발시켜 열을 방출하기도 합니다. 반면에 체온이 낮아지면 땀구멍을 닫고 혈액도 피부보다는 근육 쪽 혈관을 통해 흐르도록 해 살갗의 열 손실을 최소화하고, 근육을 으스스 떨게 해 열을 냅니다. 공포영화를 볼 때의 몸은 체온이 떨어졌을 때와 비슷한 과정을 겪는데요, 공포영화를 보며 공포와 긴장감을 느끼면 뇌는 경고 신호를 온몸에 보냅니다. 아드레날린 호르몬이 분비돼 몸의 경계태세가 강화되고, 소화기관에서 근육으로 피가 쏠리며 소화기관의 활동이 줄어드는데, 여차하면 몸을 신속히 피하기 위해서입니다. 또한 에너지 방출을 줄이기 위해 피부의 혈관을 수축시키며, 그래서 얼굴의 핏기가 가시며 창백해지고 피부에 소름이 돋게 됩니다. 근육은 수축되어 으스스한 느낌이 나고 땀샘이 자극돼 식은땀이 나는데, 식은땀이 증발하면 몸은 더욱 서늘함을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공포영화 감상 시 아드레날린이 분비되어 심박수가 증가하고 긴장감이 생깁니다. 이로 인해 일시적으로 더위를 잊는 효과가 있을 수 있지만, 체온 변화와 직접적인 연관은 명확하게 입증되진 않았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네, 공포영화 감상이 여름의 더위를 잊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가 있습니다. 공포영화를 감상할 때 우리의 몸은 아드레날린과 같은 스트레스 호르몬을 방출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심박수와 혈압이 상승합니다.
공포 영화는 긴장을 유발해 체온이 일시적으로 상승할 수 있지만, 이후엔 쾌감이나 안도감을 느끼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더위를 잊게 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습니다.
공포영화를 통해 공포와 스릴을 경험함으로써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름철 더위에 대한 불편함을 잊게 하는 데 일조할 수 있습니다.
공포 영화를 보는 것이 시원함을 느끼게 하는 것은 주로 심리적인 효과에 의한 것입니다. 공포 영화는 긴장과 두려움을 유발하여 아드레날린 분비를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심박수와 호흡이 빨라지면서 체온이 잠시 낮아진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실제로 체온이 크게 변화하는 것은 아니지만, 공포로 인한 감각적 전환이 일시적으로 더위를 잊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 효과는 과학적으로 엄밀하게 입증된 것은 아니지만, 사람들의 경험에서 비롯된 심리적 반응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공포 영화를 보는 것이 시원함을 느끼는 효과가 있다는 주장은 일부 연구에서 지지받고 있습니다. 공포 영화는 긴장과 스릴을 유발하여 아드레날린과 같은 스트레스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합니다. 이로 인해 심박수가 증가하고, 일시적으로 체온이 상승할 수 있지만, 영화가 끝난 후에는 이완 상태로 돌아가면서 시원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네, 공포영화 감상과 체온 변화에는 과학적 인과점이 있습니다.
즉, 단순한 심리적인 효과가 아니라 실제로 우리 몸의 생리적인 변화를 일으킵니다.
사람은 공포를 느낄 때 몸이 위험에 대비하기 위한 교감신경계가 활성화됩니다. 이는 혈관 수축, 심박수 증가 등의 반응을 일으켜 혈액이 피부 표면으로 흐르는 것을 줄이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피부 온도가 낮아지고 서늘함을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흔히 공포영화를 보면 닭살이 돋는다고 하는데, 이 역시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 털을 세우는 입모근이 수축하면서 피부 표면적이 넓어져 열을 더 잘 발산하게 되는 것이죠.
또한 공포를 느낄 때 땀샘이 활발하게 작용하여 땀을 분비하게 되고, 땀이 증발하면서 체온을 낮추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실제로 여러 연구에서 공포영화를 시청한 후 참가자들의 체온이 낮아지는 현상이 관찰되었습니다. 특히 얼굴 부위의 온도 변화가 두드러졌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따라서 공포영화 감상은 과학적으로 체온을 낮추고 더위를 잊게 하는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의 심리 상태나 영화의 내용에 따라 효과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온 전문가입니다.
현실적으로 공포영화를 볼 때 느끼는 시원함은 심리적인 효과이죠. 공포를 느끼면 아드레날린이 분비되고 긴장 상태가 되면서 잠시 더위를 잊는 것처럼 느낄 수 있지만, 실제로 체온이 떨어지거나 더위를 물리적으로 해소하는 것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