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철학

소탈한오릭스296
소탈한오릭스296

정약용은 인간의 본성을 이치가 아닌 기호(嗜好)의 관점에서 파악해야 한다고 하였는데요, 여기서 말하는 기호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윤리공부를 하는 남자입니다.

공부 중에 궁금한 부분이 있어서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한국 유교 사상가인 정약용은 인간의 본성을 이치가 아닌 기호의 관점에서 파악해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기호란 무엇인지 문의 드립니다.

확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인간의 본성에 대한 입장은 맹자의 성선설과 순자의 성악설 그리고 고자의 성무선악설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다산 정약용선생은 성기호설을 주장하였는데 이는 인간의 본성은 어떤 것을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경향성을 갖는다고 보았으며 맹자의 단서설(4단을 통해 4덕을 선천적으로 가지고 태어났음을 앎)에 반해 단시설(4단을 통해 후천적으로 4덕이 형성됨)을 주장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