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화려하게 부활한 설표
화려하게 부활한 설표

뿌리는 어떤 구조로 되어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식물을 뿌리째 뽑아보면 뿌리를 통해 수분과 토양의 양분을 흡수를 한다고 하더라구요~ 그러면 뿌리는 어떤 구조로 되어 있어 이런 기능을 할수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식물의 뿌리는 생존에 필수적인 부분으로 수분과 영양소 흡수, 식물의 고정, 호르몬과 저장 영양소의 합성 및 저장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뿌리의 구조는 이러한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복잡하게 조직되어 있습니다 : 뿌리 모자(root cap), 발생 영역(meristematic zone), 신장 영역(elongation zone), 성숙 영역(maturation zone), 관다발(vascular bundle)
    뿌리모자는 뿌리의 맨 끝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뿌리가 토양 속을 관통할 때 물리적 손상으로부터 섬세한 세포들을 보호합니다. 또한, 중력을 감지하는 센서로 작용하여 식물의 성장 방향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발생 영역에서는 새로운 세포들이 활발히 분열하며 뿌리의 성장을 주도합니다. 이 영역의 세포들은 분화되어 뿌리의 다른 부분을 형성하게 됩니다.

    신장 영역에서는 세포들이 주로 길이 방향으로 성장하며, 이를 통해 뿌리가 더 깊숙이 토양 속으로 침투할 수 있게 됩니다.
    성숙 영역에서 세포들은 최종적으로 분화하며, 특히 뿌리털(root hairs)이 형성되는 곳입니다. 뿌리털은 뿌리의 표면적을 대폭 증가시켜 수분과 영양분의 흡수를 극대화합니다.
    관다발은 식물체의 다른 부위로 수분과 영양분을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 제피부(xylem)와 체피부(phloem)를 포함합니다. 제피부는 주로 물과 무기 영양소를 식물의 상부로 운반하는 반면, 체피부는 생성된 유기물을 뿌리와 다른 부위로 전달합니다.

    이러한 구조적 특성은 뿌리가 효율적으로 환경에서 필요한 자원을 추출하고, 식물의 지지 및 영양 저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뿌리 시스템의 복잡성은 식물이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 적응하고 번성할 수 있는 기반이 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뿌리에는 물과 양분이 올라가는 통로인 '물관'이 있고 잎에서 만든 양분이 내려오는 '체관'이라는 통로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뿌리는 식물이 땅속에 뻗어 물과 양분을 흡수하고 식물체를 지지하는 중요한 기관으로 단순히 땅속으로 뻗어나가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구조를 가지고 각각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뿌리의 구조 중 뿌리골무는 뿌리 끝을 덮어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뿌리가 땅속으로 파고들 때 마찰로 인한 손상을 막아주며, 생장점은 뿌리골무 안쪽에 위치하며, 세포 분열이 활발하게 일어나 뿌리를 길게 자라게 합니다. 또 뿌리털은 뿌리 표피의 세포가 변형되어 털처럼 길게 자란 부분으로 넓은 표면적을 통해 물과 무기 양분을 흡수하는 역할을 합니다. 표피는 뿌리의 가장 바깥쪽을 덮어 보호하고, 뿌리털이 있는 부분이고 물관은 뿌리에서 흡수한 물과 무기 양분을 줄기와 잎으로 이동시키는 통로이며, 체관은 잎에서 만들어진 양분을 뿌리로 이동시키는 통로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뿌리의 끝부분에 위치한 이 구조는 뿌리가 흙 속으로 깊이 뻗어나갈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뿌리 머리는 부드럽고 점액질로 되어 있어 흙을 쉽게 통과할 수 있습니다.

    뿌리의 표면에 있는 작은 가지들로, 이들은 매우 얇고 넓은 표면적을 가지고 있어 수분과 양분을 흡수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미세 뿌리는 뿌리의 흡수 능력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미세 뿌리의 표면에는 뿌리 털이 나 있습니다. 이 털은 더욱 많은 수분과 양분을 흡수할 수 있게 해주며, 흙 속에서의 접촉 면적을 극대화합니다.

  • 안녕하세요.

    "뿌리"는 식물의 몸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탱하고 땅 속의 물이나 무기염류를 흡수하여 식물이 시들지 않도록 하는 관다발식물의 영양기관을 말합니다. 뿌리의 횡단면을 보면 줄기나 잎과 마찬가지로 3개의 조직계를 가지고 있는데요, 즉 표피계의 표피, 기존조직계의 피층, 관다발조직계의 관다발로 되어있으며 대체로 관다발의 중심에는 속이 있습니다. 표피는 한 층으로 되어있고 뿌리 쪽 끝에는 표피세포가 변형된 뿌리털이 있어서 물과 무기양분을 흡수하며 뿌리털보다 위쪽에서 곁뿌리가 나오게 됩니다. 피층에는 카스파리선이 있어서 물이 다시 토양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며 그 안쪽에 관다발이 존재합니다. 뿌리는 물관부와 체관부가 서로 고리모양으로 늘어서 있는 방사중심주로 되어있으며 물관부가 중심부까지 차지하지 않는 경우, 중심부를 속이라 합니다. 또한 물관부와 체관부사이에 고리모양의 형성층이 있어서 목본식물처럼 2차 생장하여 비대해지는데, 뿌리의 조직은 생장점의 활동으로 만들어지며 뿌리골무는 생장점을 싸서 외부로부터 보호하며, 생장점의 윗부분에는 세포의 신장이 활발한 신장대가 있습니다.

  • 뿌리는 크게 뿌리골무, 생장점, 뿌리털, 표피, 피층, 내피, 중심주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뿌리골무는 뿌리 끝을 덮어 보호하고, 생장점은 세포분열을 통해 뿌리가 자라도록 합니다. 뿌리털은 표피세포가 변형된 것으로, 흙과의 접촉 면적을 넓혀 물과 무기 양분 흡수를 효율적으로 만듭니다.

  • 안녕하세요. 박온 전문가입니다.

    뿌리는 크게 표피, 피층, 그리고 중심주로 구성됩니다. 표피는 바깥쪽에 위치하며 물과 무기질을 흡수합니다. 피층은 그 안쪽에 위치해 흡수된 물과 양분을 저장하고 이동을 돕습니다. 중심주에는 물과 양분을 식물의 다른 부위로 전달하는 물관과 양분을 저장하는 유관이 있습니다. 

    이 구조들이 협력하여 식물이 수분과 양분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이동시킬 수 있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