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절로 인하여 1달전에 신경처리를
받았습니다 치과에서는 크라운을 하라고
권유했으나 몆칠 지나도 음식물을 먹는데
이상이 없어 그냥 경과를 보고 있습니다
음식믈 먹는데 하자가 없으면 크라운을
안해도 되는 것인지 궁금해서 질문 올립니다
ㅇ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신경치료한 치아는 크라운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신경치료를 하게 되면 치아의 대부분의 치질이 사라지게 되어 치아가 상당히 약하게 됩니다. 물론 수복재로 해당 부위를 메꿔넣지만 그렇다고 해도 치아가 상당히 약합니다. 즉 파절 위험이 생기게 되며 지금은 특별한 문제가 없을 수 있지만 파절이 되면 크라운이 불가능하고 임플란트를 해야할 수도 있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안녕하세요. 이효상 치과의사입니다.
신경치료를 하고 나면 치아를 많이 삭제 하기 때문에
치아의 내구성이 많이 약해진 상태입니다.
이상태로 계속 사용하시면
치아에 손상이 갈 가능성이 커서 보통 크라운을 씌우자고 권유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신경치료한 치아는 치아에 탈수현상이 일어나 치아가 푸석푸석 해져 작은 충격에도 치아가 파절되기 쉽습니다.
따라서 신경치료한 치아는 치아를 보호하는 목적으로 크라운을 하여 치아를 씌웁니다.
지금 당장은 불편감이 없지만 치아가 깨질 수 있으니 크라운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
치아에 염증이 생겨서 신경치료를 하신 것 같습니다.
신경치료 후에는 크라운을 씌우지 않을 경우 치아의 파절 위험성이 증가되고
외부로부터의 세균에 의한 재감염확률이 높아져서 신경치료한 부위의 실패가 잦아집니다.
따라서 신경치료 후에는 반드시 크라운으로 씌우시는게 맞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용균 치과의사입니다.
치아에 파절이나 충치등으로 신경에 손상이 간 경우 신경치료를 합니다.
신경치료를 하기위해서 치아 가운데 구멍을 뚫어서 치료를합니다.
신경치료를 하게되면 치아는 속이 빈 대나무처럼 약해집니다.
신경치료후에 크라운을하지않고 사용하다보면 약해진 치아가 반으로 쪼개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며 이렇게 쪼개지면 발치를 해야합니다.
그래서 신경치료후에는 약해진 치아를 보강하기 위해서 크라운을 하는것입니다.
크라운 꼭 해주셔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이간치아는 증상이 나타낫다가 안나타낫다 할수 있습니다. 증상이 심각하시다면 크라운 추가로 신경치료 가능성도 있습니다. 증상이 괜찮으시다면 조심히 사용하시면서 관리하시다가 정기적으로 치과를 다니시면서 체크 받으시면될것같아요.
안녕하세요. 이정현 치과의사입니다.
파절로 인하여 신경치료를 하였다면 반드시 크라운을 해야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치아에 2차충치가 더 잘생기고, 또한 치아가 파절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장인아 치위생사입니다.
신경치료란 치아 내부에 신경과 혈관이 들어있는 치수조직을 제거한 후 그 공간에 다른 재료를 밀봉하여 치아의 기능을 유지시키는 치료 입니다.
신경을 잃었기 때문에 신경치료 후 남은 치아는 실활치
치아 속이 뚫려 응력 분산이 덜 되고 집중이 되어 금이 가기 쉽고 내구성이 떨어지므로 보철물을 해야합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건강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