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강원도의빠워
강원도의빠워

젊음의 거리 종각 왜 매장 40%가 파업하나요?>?

요즘 종각에서 매장 40%가 폐업을 한다고해서요 어쩌다가 젊음의 거리 종각이 폐업을 하고있는지궁금해서요 왜 이렇게까지 된건가요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종각 젊음의 거리 매장 폐업 급증은 내수 침체, 임대로 부담, 청년/학생 등 주요 고객층의 소비 여력 약화, 주변 상권(청진동, 익선동 등)으로 유동 인구 이동, 도심 공동화, 관광객 감소와 같은 복합 요인 때문입니다. 매출 감소로 신규 임차인 유입도 줄어 공실이 장기화하며, 한때 상징이던 상권이 급속히 쇠퇴한 결과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종각에서 매장의 40퍼센트가 폐업하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바로 임대료 대비 매출이 너무 나오지 못하고 있기에

    자영업하시는 분들이

    영업을 이어가는 대신 폐업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mz세대들이

    더 이상 종각을 찾지 않으면서

    이에 따라서 페업률이 급증하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종각의 가장 큰 문제는 젊음의 거리라는 이름과 달리,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매력이 사라졌다는 점입니다. MZ세대는 복합 쇼핑몰이나 개성 넘치는 골목 상권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종각은 전통적인 오피스 상권이지만, 젊은 층은 힙지로라고 불리는 을지로, 경복궁 옆의 서촌, 그리고 한옥 감성의 익선동 등으로 발길을 돌렸습니다. 이들 지역은 종각과 가까우면서도 독특한 분위기와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며 종각의 수요를 흡수했습니다. 상권이 활성화되어 있을 때 책정된 높은 임대료가 상권 침체 이후에도 쉽게 내려가지 않았습니다. 경기 침체와 고물가로 매출은 줄었는데, 임대료 부담은 여전해 많은 상점들이 버터지 못하고 폐업을 선택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사람들 발길이 예전만 못한 게 제일 큰 원인 같습니다. 종각은 한때 직장인도 많고 대학생 유입도 활발해서 유동인구가 꽤 있었는데 요즘은 그런 흐름이 많이 꺾였습니다. 점심 장사 되다가 저녁엔 썰렁한 날도 많다고 합니다. 임대료는 계속 높게 유지되고 있는 반면 매출은 줄고 있어서 버티는 게 점점 어려워진 상황입니다. 게다가 바로 옆에 광화문이나 을지로 쪽으로 소비 트렌드가 넘어간 것도 크고요. 종각만의 개성이 없다는 얘기도 나옵니다. 그냥 유사한 프랜차이즈만 많다 보니 굳이 여기까지 올 이유가 없어진 느낌도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고금리, 임대료 상승으로 고정비 부담이 증가했으며 소비심리 위축과 매출 부진으로 영업실적이 악화되었습니다. 또한 온라인 전환 가속화 등 구조적인 변화 때문이라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해당거리는 MZ세대가 중심이 되는 거리가 아니며 이제는 주고객층이 40~50대의 직장인으로 고착화된게 문제입니다 그리고 종각의 거리가 아니라 이제는 주변의 익선동과 서순라길이 떠오르면서 이쪽으로 MZ세대와 젊은세대들이 옮겨가면서 기존의 종각의 거리가 몰락하고 있는것입니다

    거기다 여전히 해당상권은 임대료가 매우 높기 때문에 쉽게 다른 상권이 유입되기 힘든구조이며 트렌디한 공간도 없고 획일적인 뻔한 술집이나 프랜차이즈만 있다보니 몰락의 길로 접어가고 있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요즘 쇼핑이나 술마시러 종각 쪽으로 가는 젊은사람들은 없을거 같습니다 오래전에나 젊음의 거리지 않았을가요

    종각을 생각했을때 딱히 떠오르는 이미지도 없고 특화된게 전혀 없는거 같습니다 매장 40프로 이상 폐업해도 안 이상하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최근 내수시장이 빠르게 얼어붙고 있고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넘어가고 있습니다

    • 과거와 다르게 부동산 가격은 상승하지만 해당 부동산에서 그 이상의 매출을 뽑기는

      점점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 결과적으로 버티지 못하고 폐업하는 곳들이 속출하는 구조가 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장기화된 내수 침체 속 자영업자·소상공인들은 뚜렷한 회복세가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고용을 줄이는 것은 물론, 할 수 없이 폐업까지 진행되고 있는 실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