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흰검은꼬리63
흰검은꼬리6323.04.22

옛날에 오줌을 모아가곤했던것이 생각납니다.

옛날에 오줌을 모아가곤했던것이 생각납니다.

소변에 어떤 성분이 있길래 모아갔는지 궁금합니다. 어디에 사용되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오줌을 모아간것이 혹시 개개인의 건강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아닐까요?

    다른 이야기이지만 중국에서는 아이소변으로 계란을 삶아서 판다고 합니다.

    아이소변에 있는 특이한 성분이 몸에 좋다는 소문이 있다고 합니다.

    과학적인 접근은 아니고요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옛날에는 소변에 인, 질소, 칼륨, 인산염, 요소 등의 성분이 있어서 비료로 사용되거나 가축 우드래도나 섬유 등의 염색에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또한 중세 유럽에서는 소변을 가공하여 가죽을 염색하는 용도로도 사용되었습니다. 현재에는 대부분 화학 비료나 합성 염색제 등의 대체제품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변으로 '유로키나제'라는 약품을 만들었습니다.

    이 약품은 열전용해제입니다.

    그런데, 소변에 들어있는 성분 자체가 '유로키나제'입니다. 신장에서 생성되어 소변으로 배출되는 물질이죠.

    한의학에서 말하는 소변요법이 바로 이 '유로키나제'를 이용하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옛날에는 오줌이 소중한 자원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가정이나 공공시설에서는 오줌을 모아서 활용하곤 했습니다.

    오줌에는 질산염, 인산염, 칼륨 등의 비료성분이 들어 있어서, 농사짓는 데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또한, 가죽을 염색하는 데에도 오줌이 사용되었으며, 의료용으로도 사용되곤 했습니다. 오줌은 소독제로 활용되었고, 상처나 열상에 오줌을 바르거나 가열한 오줌에 발을 담궜다는 기록도 있습니다.

    또한, 옛날에는 오줌에서 비롯된 암모니아 가스를 사용해서 석회암을 탄산화하는 공정에도 사용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만들어진 탄산성 석회암은 건축자재나 비료 등으로 활용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소변은 95%가 물이며, 나머지는 요소, 염분, 아미노산, 무기질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약 3%정도의 요소가 소변에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 중에는 요소, 염소, 칼륨, 인, 나트륨, 마그네슘, 아연, 구리 등의 무기질물질과 요소산, 요소당, 요소포도당 등의 유기물질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농경사회에서 농작물의 비료로서는 물론 가죽을 무두질할 때, 옷을 세탁할 때나 화약을 만들 때도 소변은 요긴하게 사용되었다. 하지만 현대적인 중앙 집중식 하수관리 시스템이 등장한 이후로 소변의 사용은 사라졌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