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청춘만화
청춘만화

탄자니아에서 K-뷰티가 성장세라지만 위조품 문제는 어떻게 돌파할 수 있습니까

현지 시장이 연평균 15% 성장한다는 건 매력적입니다 그런데 위조품이랑 병행수입까지 얽히니 시장 신뢰가 흔들린다고 하네요 우리 기업들이 진짜로 뚫어야 할 해법은 뭘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탄자니아 화장품 시장이 커진다는 건 분명 기회지만 동시에 위조품이 발붙이기 좋은 환경이기도 합니다 현장에서 자주 겪는 방식으로 보면 위조품 유통을 막기 위해 단속만 의존하면 늘 한계가 있었습니다 실제로는 원산지 표시나 정품 인증 마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세관과 협업해 공식 수입 통로를 분명히 하는 게 신뢰를 쌓는 데 효과적이었습니다 또 병행수입은 제도적으로 허용되는 부분이 있어 단순히 막을 수 없으니 오히려 브랜드사가 현지 총판 계약이나 독점 유통 구조를 명확히 세우는 게 중요합니다 소비자 교육도 빼놓을 수 없는데 온라인 채널을 통해 정품과 위조품을 구분하는 정보 제공을 꾸준히 하면 브랜드 충성도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제 경험에 비추어 보면 결국 통관 관리와 유통 채널 통제가 같이 맞물려야 해법이 나온다고 생각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아프리카는 아직 미개척 국가로서 장기적으로 시장점유율을 높일수 있는 유망한 곳으로 보여집니다. 다만, 아직 소득수준이 낮다보니 가격이 너무 높으면 시장점유율을 잡기는 쉽지 않은 부분이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개도국의 경우 기존 제품을 카피한 위조품들이 판칠수가 있으며 생각보다 정교하게 생산되어 유통되므로 해당 브랜드 제품의 신뢰성을 낮추는 아주 좋지 않은 부분입니다. 따라서, QR 코드 및 정품 인증제품인 것으로 할 수 있도록 해야하며, 아직 소득수준이 높지 않기에 중산층과 그 이상을 타겟팅하여 시장을 천천히 잡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보여집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