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DNA전사 시 복제가 필요한가요?
DNA 전사 시 복제를 하고 전사를 하는 건가요?
DNA 복제는 체세포분열과 같은 세포분열 시 일어난다고 알고 있는데, 원핵생물의 젖당 오페론에서 조절유전자가 복제 후 전사되어 억제자 단백질이 만들어진다는 말을 듣고 궁금해서 질문 올립니다.
안녕하세요.
DNA 전사와 복제는 서로 다른 과정이며, 각기 다른 목적과 기능을 가집니다. DNA 전사는 DNA를 RNA로 전환하는 과정이고, DNA 복제는 세포분열 전에 DNA를 정확하게 복사하는 과정입니다. 두 과정은 서로 독립적으로 일어나며, 특별한 상황을 제외하고는 DNA 전사가 DNA 복제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DNA 복제는 세포분열이 일어나기 전에 세포의 유전 정보를 정확하게 복제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은 세포가 분열하여 두 개의 딸 세포가 각각 완전하고 정확한 DNA 복사본을 가질 수 있도록 합니다. DNA 복제는 S상(phase) 동안 일어나며, DNA 폴리머라제와 다른 효소들이 참여합니다.DNA 전사는 특정 DNA 부위(유전자)에서 정보를 읽어 그 정보에 해당하는 RNA를 합성하는 과정입니다. 이 RNA는 대부분의 경우 단백질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메신저 RNA(mRNA)입니다. 전사 과정은 RNA 폴리머라제 효소가 DNA 이중 나선을 일시적으로 분리하고, 한 가닥의 DNA를 템플릿으로 사용하여 상보적ㅇ니 RNA를 합성합니다.
원핵생물에서의 젖당 오페론(Lac operon)은 특정 환경 조건(ex : 락토오스의 존재) 하에서 유전자의 전사가 조절되는 예입니다. 오페론 내의 조절유전자는 억제자 단백질을 만들기 위한 유전 정보를 제공하며, 이 억제자 단백질은 오페론 내 다른 유전자의 전사를 억제할 수 있습니다. 젖당 오페론의 조절 메커니즘은 DNA 복제와는 별개로, 유전자 전사를 통해 조절됩니다.
따라서, DNA 전사는 복제 과정 없이 독립적으로 일어날 수 있으며, 세포가 특정 단백질을 생산할 필요가 있을 때 발생합니다. 복제 후 DNA가 전사되는 경우는 세포분열과 관련된 맥락에서 생각할 수 있으나, 전사 자체는 복제와는ㄷ ㅗㄱ립적인 생물학적 과정입니다.DNA 전사 시에는 복제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DNA 전사는 특정 유전자의 정보를 RNA로 만드는 과정이며, 복제는 세포가 분열할 때 DNA 전체를 복제하는 과정입니다. 원핵생물의 젖당 오페론에서 조절유전자가 전사되어 억제자 단백질을 생성하는 과정은 DNA가 복제된 후가 아니라 DNA에서 직접 전사가 이루어져 mRNA가 생성되고, 그 mRNA가 단백질을 만드는 것입니다. 따라서 전사 과정은 DNA의 특정 부분을 선택적으로 사용해 단백질 합성을 위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에 초점이 있으며, 복제와는 다른 목적과 시점에서 일어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