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검소한오랑우탄282
검소한오랑우탄282

절연이 된다는 의미는 재질 자체의 분자 구조에서 분자간 이동이 불가하다로 이해하는게 맞나요??

절연이라는 의미가 전기가 안통하다는 의미인데, 간단히 이해하자면 해당 재질의 분자 간의 이동이 불가하다로 이해해도 괜찮은건지 궁금합니다. + 분자가 - 분자로 이동하지 못해 전기가 통하지 못하는게 맞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문득 과학전문가
      문득 과학전문가

      안녕하세요.

      이 세상에 완벽한 절연은 없습니다.

      높은 전류, 전압이라면 어떠한 문제 없이 전류가 흐를 수 있습니다.

      절연은 일반적인 상황에서 전기가 거의 통하지 않는 다는 의미가 맞고

      분자가 이동하는 것이 아닌 원자의 가장 바깥쪽 전자가 이동하는 것이 전기입니다.

      그 말은 분자간의 이동이 아니라 전자의 이동이 쉽지 않다는 말과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용어의 혼선이 있어 정리해드립니다. 모든 물질에는 전자라는게 있는데 이 전자가 이동을 하게되면 전기가 발생하는겁니다. 분자는 물질 그 자체이므로 이동을 하는게 아니라 전자가 이동을 하는겁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온의 이동에의한 전류흐름이 있다면 가능합니다.

      예를들어, 회로를 구성할 때 전해질이 녹아있는 액체가 포함되어있고, 액체 사이에 절연체나 이온의 이동을 방해하는 격벽이 존재하여 절연이 이루어졌다면, 이온의 이동을 차단하는 절연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금속도선에서 단순히 절연체를 끼워넣어 절연을 했다고해서 이온이나 분자의 이동을 막았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금속도선에서 전류의 이동은 오로지 전자의 이동에 의해서만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절연체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물질로써

      분자간 이동이라기 보단 전자의 이동을 할 수 없는 물질이라고 표현하는게 좋을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