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온뒤 무지개가 생기는 현상은 어떤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세나나오입니다.
집중호우가 잦은 시기입니다.
한번쏟아내고 습도가 높은 더위가 오는데
무지개가 활짝펴있네요.
무지개가 생기는 현상은 어떤원리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태양의 빛은 여러가지 색깔이 합쳐져있는 형태입니다. 비가 온 후에 대기중에 물방울이 많이 떠 있을때 물방울에 의해 햇빛이 굴절되면서 여러 스펙트럼으로 분리되면서 무지개가 나타난다고 합니다.
물방울에 의한 빛의 굴절이 중요한 포인트라고 봐야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무지개가 생기는 원리는태양빛이 빗방울에 들어가면서 시작하죠~ 태양빛이 여러개의 색깔로 구성된 백색광인데 빛이 공기에서 물방울로 들어갈때 각 색깔의 빛이 서로 다른 각도로 굴절되며 이는 물의 굴절률이 각 색깔마다 다르기 때문에 나타나는 분산현상으로 빨간색 빛은 덜 굴절되고 보라색 빛은 더 많이 굴절이 되버리죠~ 빛은 물방울 내부에서 반사를 하며 빛이 물방울의 반대쪽 내부 표면에 도달하면서 빛의 일부가 반사되어 다시 물방울 내부를 통해 나오게 되어 색깔마다 다른 각도로 나가게 되면 물방울 내부에서 반사된 빛이 물방울을 떠다니면서 다시한번 굴절되고 빛이 공기와 물의 경계에서 다시 각 색깔별로 서로 다른각도로 굴절되고 빛의 각 색깔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퍼지게 되어 원래는 백색광이였던게 여러 색깔로 가시의 영역에 나타나면서 빨,주,노,초,파,남,보의 색깔을 나타내게 되는것이지요! 무지개를 잘 보기 위해서는 햇빛이 보여야 하며 물방울이 적정량 있어야하며 관찰자의 뒤쪾에 태양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