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자동차에도 모터를 사용할텐데 전기차에 쓰는 모터는 어떤게 있으며, 특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전기자동차에도 모터를 사용할텐데 전기차에 쓰는 모터는 어떤 종류의 모터를 사용흐며, 그 모터에 대한 특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다람 전문가입니다.
전기차는 주로 pmsm모터를 사용하게 되는데요
이 모터는 고효율,높은 토크제공, 정밀 제어, 탁월한 내구성, 저소음 실현, 컴팩트한 설계가 특징으로 전기차에 적합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전기자동차에 주로 사용되는 모터는 전동기(DC모터, AC모터)입니다. 그중에서도 영구자석 동기모터(PMSM)과 유도모터가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영구자석 동기모터(PMSM) :
특징 : 높은 효율성과 출력 밀도를 제공합니다. 회전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정밀한 제어가 가능합니다.
장점 : 가벼운 무게와 컴팩트한 크기로 인해 전기차의 공간 활용도가 높아집니다. 또한, 응답성이뛰어나 가속력이 우수합니다.
유도모터 :
특징 : 구조가 간단하고 견고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합니다.
장점 : 높은 내구성과 긴 수명을 제공하며, 다양한 운전 조건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합니다. 그러나 효율성은 PMSM에 비해 낮을수있습니다.
이러한 모터들은 전기차의 주행성능, 효율성, 주행 거리 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
1, 전기차 모터
전기차 모터는 배터리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전달받아 구동 (회전) 에너지로 변환하는 부품입니다.
이렇게 변환된 구동 에너지가 차량의 각 바퀴에 전달하고, 이를 통해 전기차가 구동하게 되는 방식입니다.
2, 회생 제동
자동차의 동력을 담당하는 부분은 내연기관 자동차와 동일하지만
모터는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발전기 역할도 합니다.
모터는 회전하던 도중 속도가 줄게되면, 즉 차량 제동 시에는
동력에 필요한 에너지를 멈추고 제동 하는 힘을 역으로 활용하여 에너지를 생성 (발전)하게 되는 방식으로,
차량 제동 시에 에너지를 발전하는 겁니다.
3, 전기차 모터 탑재 개수
싱글 모터 (Single Motor) : 1개 탑재
먼저 1개의 싱글 모터가 탑재되는 경우는 흔히 말하는 2WD 구동 방식 (Single Motor)을 사용할 때 적용이 됩니다. 모터의 위치에 따라 전륜 (FWD), 또는 후륜 (RWD)에 차이는 있겠지만 전기차를 모터 하나로만 구동시키는 방식이 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AWD 대비해서는 동력 성능이 다소 딸리고,
눈길이나 험지를 탈출할 경우에 성능이 부족한 단점이 있으나
모터가 수량이 적어 가격이 내려갑니다.
듀얼 모터 (Dual Motor) : 2개 탑재
듀얼 모터는 AWD 구동 방식을 사용할 때 입니다.
일반적으로는 하나의 주요 구동 역할을 하는 모터가 있고 이보다 출력이 낮은, 구동 보조 역할을 하는 모터가 탑재되며, 높은 성능을 요구하는 차량이나 SUV의 경우 동일한 출력을 가진 모터를 탑재하여 성능을 높이기도 합니다.
이 듀얼 모터는 전륜과 후륜 각각에 동력을 전달하여 오프로드에서도 강한 성능을 보여주며
눈길이나 빗길에서도 안정적인 주행을 제공함으로써 최근에는 AWD가 고성능이라는 이미지보다 안전에 대한 이미지가 큰 관계로 많은 분들이 옵션으로 선택합니다
트라이 모터 (Tri-motor) : 3개 탑재
AWD 방식이지만 모터를 구성하는 방법에 차이가 있습니다.
앞서 듀얼 모터를 탑재하는 AWD의 특징과 장단점을 동일하게 가지고 있지만 적용하는 위치에 차이가 있습니다.
하나의 모터는 전륜에 위치하여 전륜의 구동력을 담당하지만,
나머지 두개의 모터는 후륜의 양쪽 각각의 동력을 담당하거나, 두개의 모터가 함께 후륜의 양쪽의 모터를 담당하기도 합니다.
쿼드 모터 (Quad-motor) : 4개 탑재
듀얼과 트라이 모터와 동일하게 AWD 방식이지만 각각의 휠에 모터가 적용되기 때문에
운전 환경에 따라 다른 성능을 낼 수 있고, 그만큼 강한 출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쿼드 모터가 탑재되면 ‘탱크 턴’이라는 특별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데 탱크가 제자리에서 360도 회전할 수 있는 것처럼 4개의 바퀴의 회전 뱡향을 각 모터가 제어하여 360도 회전할 수 있게 해 줍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전문가입니다.
자동차용 모터의 경우 고출력을 내는 모터를 대부분 사용하게 됩니다. 이는 자동차의 주행을 위하여 강력한 마력이 요구되기 때문이죠.
안녕하세요.
모터는 전기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입니다. 그 구동 원리는 전자기 유도의 법칙에 기반을 둡니다.
기본적으로 모터는 전류가 흐를 때 자기장을 형성하는 코일과, 이 자기장과 상호작용하는 자석을 사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킵니다.
1. 전류와 자기장:
전류가 코일(도선)에 흐르면 그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됩니다. 모터 내부의 자석은 이 자기장과 상호작용하여 힘을 받게 됩니다.
2. 로렌츠 힘:
자기장 속에서 전류가 흐르는 도선은 힘을 받습니다. 이 힘을 로렌츠 힘이라 부르며, 이 힘이 모터의 회전력을 만들어냅니다. 전류가 흐르는 방향과 자기장의 방향에 따라 힘의 방향이 결정됩니다.
3. 회전 운동:
모터 내부의 회전자는 이 힘을 받아 회전하게 됩니다. 브러시드 모터의 경우, 브러시와 정류자가 전류의 흐름 방향을 바꾸어 지속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만듭니다. 브러시리스 모터는 전자적으로 전류의 방향을 제어하여 회전력을 유지합니다.
4. 종류:
모터는 크게 직류(DC) 모터와 교류(AC) 모터로 나뉩니다. 직류 모터는 DC 전원으로 작동하며, 교류 모터는 AC 전원으로 작동합니다. 각각의 종류는 응용 분야에 따라 사용됩니다.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