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굳건한사마귀212
굳건한사마귀212

회사 퇴직연금계좌는 입사후 1년후에 만들어주는건가요?

회사 퇴직연금계좌는 입사후 1년후에 만들어주는건가요?

1) 이때 퇴직연금에 금액은 얼마가 들어오나요??

2) 들어오는 기준 및 시점이 궁금해요

3) dc 형 db형은 회사선택인가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퇴직연금 계좌는 일반적으로 입사 1년 후 개설되며 회사가 퇴직 급여 적립을 시작합니다. DC형은 근로자가 운용방식을 선택, DB형은 회사가 운용합니다. 첫 입금은 급여 기준 일정 비율로 적립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회사 퇴직연금은 입사하고 바로 만들어줍니다.

    1) 일반적으로 평균 월급정도가 1년에 적립이 됩니다.

    2) 1년에 한번 회사 내규에 정해진 시점에 입금이 됩니다.

    3) DB형이나 DC형은 회사가 정하며 직원이 임의로 선택은 어렵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퇴직금은 입사 후 1년이 지나야 발생하므로, 퇴직연금가입도 1년이 지난 시점입니다.

    퇴직연금에 들어오는 금액은 평균임금 1개월분이며, 회사가 DC형 또는 DB형을 선택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퇴직연금계좌는 DC형만 매년 회사에서 납부하는 구조이며 퇴직연금계좌는 입사후 정식사원이 되시면 인사팀에서 미리 해당 회사내에서 계약된 퇴직연금계좌로 만들어 놓습니다.

    그리고 매년 1년뒤에 퇴직연금이 DC형 구조라고하면 회사가 다음연도 결산초에 퇴직연금을 기여금형태로 납부하는 구조이며, 납부하는 납입주기는 회사의 정관으로 운영되는 구조이며 이는 공통된 사항이 아닙니다. 정확한건 회사내의 인사팀에서 규정하며 보통은 연말 결산이후 다음연도 월초에 적립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1년미만 입사자의 경우 처리방법도 회사 규정에 따라 다릅니다.

    그리고 퇴직연금의 금액은 1년간 상여금을 포함한 실제 1년간의 급여신고서에 기재되는 급여액의 1/12가 기여금으로 납부하여 근로자의 개별로 연금계좌에 기여금으로 납부하는 형태입니다. DC형과 DB형은 회사선택이지 근로자의 선택이 되지 않습니다. 최근엔 DC형태로 이루어지는게 대부분이며 그리고 DB형은 일시금으로 주는 계좌로서 근로자 개인의 계좌에 별도로 생성되지 않고 회사가 스스로 운용위험을 부담하고 회사자체적으로 운용하는 형태이며 기여금 납부도 회사가 자율적으로 정해지는 구조라 근로자는 DB형에 대해서 어떻게 운용되는지 알수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퇴직연금계좌의 개설의 경우 입사 초기에 개설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인사과나 또는 선임이 이야기하지 않는 다면 이에 대한 문의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퇴직금의 경우 보통 1년이상 근무를 한 기준으로 지급이 된다고 볼 수 있으며, 연금의 경우에는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운영이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퇴직금의 경우 규정에 마련되어 있어 보통 일시불이 아닌 연금의 형태로 일정한 주기로 납부하고 돌려받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전문가입니다.

    회사 퇴직연금계좌는 입사하면 자동으로 만들어지게 됩니다.

    대신 DC형과 DB형 선택은 본인이 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회사 퇴직연금 계좌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이라면 회사가 근로자의 입사 이후 1년 이내 개설하게 되고

    퇴직연금은 1개월치 정도가 들어오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회사 퇴직연금 계좌는 입사 시점에 개설되고 적립이 시작되며, 1년 이상 근속해야 퇴직급여 수령 자격이 주어집니다.

    1,2. 금액과 시점은 제도가 DB형(확정급여형)인지 DC형(확정기여형)인지에 따라 다른데, DB형은 퇴직 시 받을 금액이 미리 정해져 회사가 적립하고, DC형은 연간 임금총액의 1/12 이상을 회사가 질문자님 계좌에 정기적으로 납입해 주며 운용은 본인이 하는 방식입니다.

    3.DB형과 DC형 중 어떤 제도를 도입할지는 회사가 결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