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관련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요즘 금리가 계속 올라서 올초보다 두배 정도 이율이 올랐네요 언제쯤 되야 금리가 떨어질지~~~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미국의 기준금리를 따라가고 있어서 미국의 기준금리 흐름이 곧 우리나라의 기준금리 흐름의 척도가 된다고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미국의 기준금리를 따라가는 이유는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가 심화되게 되면 지난 7월에서 10월까지 달러환율이 급격하게 상승한 것처럼 달러 환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지난 7월에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2.25% 미국의 기준금리는 2.5%가 되면서 한미간의 금리역전현상이 발생하였고 이를 기점으로 환율이 급속도로 상승하였습니다.
환율이 상승하게 되면 우리나라에서 수입하는 원자재들의 가격이 상승하게 되고 이는 곧 인플레이션의 상승을 초래하게 됩니다. 즉,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을 쫓아가지 않게 되면 환율상승과 인플레이션 상승이라는 불이익이 돌아오기 때문에 미국을 따라서 금리를 인상하게 되는 것입니다.
지금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은 내년 상반기까지 예정되어 있으며 정점 금리수준은 5%~5.5%정도로 예측하고 있으며 금리인하시기는 2024년도 상반기정도를 예상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미국의 기조를 생각한다면 우리나라의 기준금리 인상은 내년 중반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고 정점금리는 4%수준에서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내년 한해는 심각한 경기침체 현상으로 인해서 조금 빨리 금리인하를 검토할 것으로 보이며, 빠르면 2023년도 연말이나 늦는 경우 2024년도 중반부터 금리인하를 시작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 한번 부탁드릴게요.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가 어디까지 오를지 언제까지 오를지는 아무도 모릅니다만,
결국 금리가 무한대로 올라갈 수는 없으며 물가가 안정된다는 정확한 지표가 있다면 금리인상이 멈출것입니다.
개인적으로 보았을때는 내년 상반기정도까지는 어느정도 금리인상이 지속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엽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는 인플레이션과 관련이 높습니다. 많은 전문가들이 내년 상반기 인플레이션 상승률이 둔화될 것을예상하며, 이에 따라 미연준의 기준금리 상승도 멈출 것을 예상합니다. 다만 기준금리의 하락은 물가안정세가 확인되어야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에 24년이후에 가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Fed의 고강도 통화긴축 기조가 한동안 이어질 예정인 만큼 경기침체 우려도 커지고 있으므로 당분간은 기준금리를 4~5% 수준까지 올리고 유지를 할것으로 보입니다. 기준금리를 다시 낮추는 시기는 빨라도 2024년일 것으로 예측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언제 금리가 떨어질지는 아무도 모릅니다만
내년 상반기까지는 금리가 인상될 확률이 높아보입니다.
내년 하반기부터 동결내지 인하가 있을 것으로 보이나 미래는 알 수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테스티아입니다.
* 물가안정 목표 즉, 물가 상승률이 5% 정도인데, 이게 서서히 하향세를 보여서 2% 대 수준까지 갈 것 같을 때 금리가 내려가게 될 것이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미 연준(Fed)의 금리 동결 or 인하 기조로의 선회(* 비둘기 연준)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