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재미 놀이의 유래가 알고 싶어요.
예전에 학교 다닐때 오재미라고 가을 운동회를 할때 많이 해봤던 기억이 나는데 요즘은 하는게 잘 안보이던데 이런 오재미 놀이의 유래가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오재미는 일본 전쟁으로부터 유래된 놀이다.
오재미는 주머니에 콩을 넣어 만들어 지금은 콩주머니라고 부르지만 원래는 일본어 오자미(おじゃみ)이다. 그러니 이 놀이는 일본에서 건너온 놀이입니다. 일본에서는 왜 오재미를 던져 박을 터뜨렸을까요? 그것은 일본이 전쟁의 나라를 상징하는 가장 중요한 행동입니다. 즉, 고대부터 전쟁을 일삼아 왔던 일본에서 자연스레 생겨난 놀이가 바로 오재미 놀이라는 것입니다.
전쟁터에 가려면 필수품이 무기와 식량입니다. 이때 일본에서는 식량을 주머니에 콩을 볶아 넣어 갖고 다녔습니다. 그러다가 전쟁이 길어지면 허기를 해결하기 위해 콩주머니를 꺼내 그 속에 있는 콩을 꺼내 먹으며 허기를 잊었으니, 이 놀이에서 `콩주머니`를 던져 박을 터뜨리면 `점심시간`이 되는 것이라고 합니다.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의]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헝겊에 콩이나 모래를 넣어 만든 오재미를 가지고 즐기는 놀이.
[개설] 오재미는 콩이나 모래를 헝겊에 싸고 꿰맨 주머니로서 크기는 어린아이 주먹만 하였다. 오재미를 ‘콩주머니’ 혹은 ‘모래주머니’라고도 하였다. 주로 여자 아이들이 모여서 즐기는 오재미놀이는 혼자 혹은 두서너 명이 방안에서 할 수 있고, 야외에서 편을 짜서 할 수도 있다. 야외의 경우 오재미 던져 박을 터뜨리기나 오재미를 던져 상대방을 맞추는 등의 놀이 방법이 있다. 양주 지역의 오재미놀이 역시 집안 혹은 야외에서 다양하게 즐겼다.
[연원] 오재미는 오자미라고도 하는데, 일제 강점기에 운동회 등이 실시되면서 들어온 일본 놀이 문화의 하나이다. 그러나 우리에게 수용된 뒤 거의 전통적인 민속놀이가 되어 지금은 운동회 때에 들어가는 프로그램의 하나이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오재미는 오자미라고도 하며 일제 강점기 운동회 등이 실시되면서 들어온 일본 놀이 문화 중 하나입니다.
즉 오자미는 콩이나 모래를 집어넣은 놀이 주머니를 뜻하는 일본어 오자미가 기원으로 , 일제 강점기 학교 운동회가 실시되면서 함께 들어온 일본 놀이 문화 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오자미는 콩이나 모래를 집어넣은 ‘놀이 주머니’를 뜻하는 일본어 ‘오자미(お‐じゃみ)’가 기원인데, 현재는 ‘오태다마(おてだま)’가 더 일반적인 표현이라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오자미놀이는 일제 강점기 때 학교 운동회가 실시되면서 함께 들어온 일본 놀이 문화 중의 하나라고 추정된다.
출처 : 향토문화전자대전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오재미라는 말의 어원은 오자미 즉 놀이주머니의 일본식 발음이라고 합니다. 그것을 어린아이들에게 가르쳐줬던 것이 우리나라의 오재미놀이의 기원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