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도그는강아지
도그는강아지

사람의 염색체가 xxy가 되면 어떻게 되나요??

사람의 염색체는 xx나 xy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만약 xxx나 xxy로 된다면 어떻게 될까요?? 식물또한
몬스테라가 있으면 무늬몬스테라 생기는데 같은 원리 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사람의 성염색체는 남성의 경우 XY, 여성의 경우 XX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생식세포가 감수분열을 진행할 때 염색체 분리가 불완전하게 이루어져 더 많거나 적은 성염색체를 가진 정자 혹은 난자가 만들어 질 수 있습니다.

    이런 정자나 난자가 수정을 하게되면 성염색체 수가 한쌍이 아니게되며 이와 관련한 여러 증상이 나타납니다.

    XXY의 경우 외형이 남성이지만 이 경우 일반적으로 지능지수가 약간 낮으며 키가 대체적으로 큽니다. 상재덕으로 작은 생식기를 가지고 불임인 경우가 많습니다.

    XXX의 경우 X염섹체의 특성상 한개만 남기고 바소체가 되어 비활성화 되기 때문에 일반 여성들과 큰 차이가 없다고 합니다. 다만 난임이나 약간의 지능저하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무늬가 생기는 몬스테라의 경우 염색체에 있는 많은 유전자중 일부가 돌연변이 되어 나타난 것으로 염색체의 수는 바뀌지않습니다. 따라서 사람에게서 성염색체 수가 바뀌는 큰 변화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 야콥증후군, 즉, XYY 증후군이 나타납니다.

    정상적인 남성은 XY 염색체를 가지고 있는 반면, XYY 증후군을 가진 남성은 하나의 추가적인 Y 염색체, 즉 총 47개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비교적 흔한 염색체 이상으로, 약 1,000명의 남아 출생 중 1명에게 발생합니다.

    XYY 증후군은 일반적으로 증상이 거의 없거나 매우 가볍습니다. 대부분의 남성들은 정상적인 성장과 발달을 하고, 생식 능력도 정상입니다. 하지만 키가 크거나, 여드름, 학습 장애, 언어 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일각에서 알려진 것처럼 XYY 증후군이 있는 사람이 반드시 공격적이거나 범죄를 저지르는 것은 아닙니다. 과거에는 이러한 연관성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현재 연구에서는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를 찾지 못했습니다.

    XYY 증후군은 유전적 결함이지만, 치료가 필요한 질환은 아닙니다. 만약 자신 또는 주변 사람이 XYY 증후군을 가지고 있는지 궁금하다면, 유전 상담이나 염색체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사람의 염색체가 XXY가 되면 이는 클라인펠터 증후군입니다. 클라인펠터 증후군은 학습 장애를 갖고 외형적으로 기형이 발생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인간의 염색체는 일반적으로 여성이 XX, 남성이 XY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러나 XXX나 XXY와 같이 추가적인 염색체를 가지는 경우에는 성염색체 이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XXX 증후군은 여성성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고, XXY 증후군은 남성성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봅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호 박사입니다. 사람의 염색체는 2배체이기 때문에 정상적으로는 XX나 XY가 되지만, XXX나 XXY가 될 경우에는 모두 성염색체 이상 질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XXX 증후군은 X 염색체가 3개 존재하는 성염색체 이상 질환이며, 표현형은 여성입니다. 출생 빈도는 여아 1,200명당 1명 정도이며, 추가된 X 염색체의 90% 이상이 어머니로부터 유래합니다. 어머니의 생식 세포 감수 분열 시 X 염색체의 비분리 현상이 그 원인입니다. XXY 증후군은 '클라인펠터 증후군'이라고도 부릅니다. 클라인펠터 증후군은 고환이발생증과 여성형 유방 등의 임상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며, 남아 650명당 1명꼴의 빈도로 발생합니다.

  • 사람의 염색체가 XXY가 되면 클라인펠터 증후군이라는 유전 질환을 갖게 됩니다. 이는 남성에게 나타나며, 일반적으로 키가 크고 학습 능력이나 언어 능력 발달이 느릴 수 있으며, 불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식물의 무늬종과는 발생 원리가 다릅니다. 식물의 무늬종은 엽록소 결핍 등으로 인해 잎에 무늬가 나타나는 현상이며, 유전적인 변이 외에도 바이러스 감염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사람의 염색체가 xx 또는 xy로 이루어져 있는 것은 성별 결정을 위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xxx나 xxy와 같은 추가 염색체를 가지게 되면, 이는 성염색체 이상이라고 부르며, 다양한 증상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xxx 증후군은 주로 여성에서 발생하며, 지능 저하 및 발달 지연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xxy 증후군은 주로 남성에서 발생하며, 발달 지연, 학습 장애, 수면 위생 문제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식물의 경우, 몬스테라와 같은 무늬가 있는 것은 유전자 변이 또는 환경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유전자 변이로 인해 새로운 무늬가 생기는 경우, 이는 다양한 유전자 조합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항상 같은 규칙성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질문자님이 가정한 염색체의 수는 인간에게 적용했을 때 여러 증후근과 같은 유전적 상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XXY의 경우 클라인펠터 증후군, XXX 구성은 트리플 X 증후군을 초래합니다. 클라인펠터 증후군은 남성에게서 발견되는 유전적 장애로, 정상적으로 XY 염색체를 가질 남성이 추가적인 X 염색체를 가지게 됩니다. 트리플 X 증후군은 여성에서 발견되며, 정상적으로 XX 염색체를 가질 여성이 추가적인 X 염색체를 가지고 됩니다. 이 상태는 클라인펠터 증후군보다 덜 뚜렷한 증상을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