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예금·적금

향기로운아비197
향기로운아비197

청년희망적금 만기됐는데 이제 어떻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kb국민은행 사용하고있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이 올해 4월4일에 만기되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도 있는데 희망적금 만기금액을 도약계좌로 일시금 이체시켜놔야하나요? 아니면 자동이체 등록해서 매달 50만원씩 들어가면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청년희망적금 만기 후 청년도약계좌 활용 방안에 대해 문의주셨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크게 일시납입과 매월 자동이체 납입 방식이 있습니다.

    일시납입: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을 청년도약계좌에 일시 납입하는 방식입니다.

    장점: 정부기여금을 미리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최대 18개월의 가입 기간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단점: 일시 납입 기간 동안에는 추가 납입이 불가능합니다.

    매월 자동이체: 매달 일정 금액(최대 70만 원)을 청년도약계좌에 납입하는 방식입니다.

    장점: 정부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꾸준한 저축 습관을 기를 수 있습니다.

    단점: 한 번에 많은 금액을 넣을 수 없어 복리 효과를 극대화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매월 납입하지 않으면 정부지원금을 받을 수 없습니다.

    어떤 방식이 더 유리한지는 개인의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만약 목돈을 굴려 더 높은 수익을 낼 수 있다면,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을 다른 투자에 활용하고 청년도약계좌에는 매월 자동이체로 납입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안정적인 자산 형성을 원한다면,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을 청년도약계좌에 일시 납입하고 매월 추가로 자동이체 납입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 ~ 34세 청년 중 개인소득 및 가구소득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가입 가능합니다. 자세한 가입 조건은 서민금융진흥원 청년도약계좌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을 이용하고 계시므로, 국민은행 앱 또는 영업점을 통해 청년도약계좌 관련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도약계좌 역시 가입을 하실 예정이라면 연계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 중 하나입니다.

    다만, 연계를 하게 되면 선납입한 금액에 대한 기간동안은 적금 납입이 안되기 때문에

    그 기간 동안은 다른 적금을 하시거나, 아니면 여윳돈이 있으시다면 도약계좌는 따로 하시고,

    희망적금으로 모은 돈으로는 다른 투자 또는 예금을 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청년희망적금 만기시 청년도약계좌로 연계하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가령 만기가 된 금액을 모두 청년도약계좌로 이체하시면

    그 만기 기간만큼이 인정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어차피 한도가 있기 때문에, 희망적금 만기금액을 도약계좌로 굳이 일시금 이체시킬 필요는 없습니다. 자동이체 등록해서 매달 50만원씩 넣으시면 됩니다.(최대 70만원까지라서 70만원 넣으시는 게 가장 유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