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희망적금 만기됐는데 이제 어떻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kb국민은행 사용하고있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이 올해 4월4일에 만기되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도 있는데 희망적금 만기금액을 도약계좌로 일시금 이체시켜놔야하나요? 아니면 자동이체 등록해서 매달 50만원씩 들어가면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청년희망적금 만기 후 청년도약계좌 활용 방안에 대해 문의주셨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크게 일시납입과 매월 자동이체 납입 방식이 있습니다.
일시납입: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을 청년도약계좌에 일시 납입하는 방식입니다.
장점: 정부기여금을 미리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최대 18개월의 가입 기간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단점: 일시 납입 기간 동안에는 추가 납입이 불가능합니다.
매월 자동이체: 매달 일정 금액(최대 70만 원)을 청년도약계좌에 납입하는 방식입니다.
장점: 정부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꾸준한 저축 습관을 기를 수 있습니다.
단점: 한 번에 많은 금액을 넣을 수 없어 복리 효과를 극대화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매월 납입하지 않으면 정부지원금을 받을 수 없습니다.
어떤 방식이 더 유리한지는 개인의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만약 목돈을 굴려 더 높은 수익을 낼 수 있다면,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을 다른 투자에 활용하고 청년도약계좌에는 매월 자동이체로 납입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안정적인 자산 형성을 원한다면,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을 청년도약계좌에 일시 납입하고 매월 추가로 자동이체 납입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 ~ 34세 청년 중 개인소득 및 가구소득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가입 가능합니다. 자세한 가입 조건은 서민금융진흥원 청년도약계좌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을 이용하고 계시므로, 국민은행 앱 또는 영업점을 통해 청년도약계좌 관련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도약계좌 역시 가입을 하실 예정이라면 연계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 중 하나입니다.
다만, 연계를 하게 되면 선납입한 금액에 대한 기간동안은 적금 납입이 안되기 때문에
그 기간 동안은 다른 적금을 하시거나, 아니면 여윳돈이 있으시다면 도약계좌는 따로 하시고,
희망적금으로 모은 돈으로는 다른 투자 또는 예금을 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청년희망적금 만기시 청년도약계좌로 연계하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가령 만기가 된 금액을 모두 청년도약계좌로 이체하시면
그 만기 기간만큼이 인정된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어차피 한도가 있기 때문에, 희망적금 만기금액을 도약계좌로 굳이 일시금 이체시킬 필요는 없습니다. 자동이체 등록해서 매달 50만원씩 넣으시면 됩니다.(최대 70만원까지라서 70만원 넣으시는 게 가장 유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