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에 있는 미생물 중 범종설의 후보가 될 만한 미생물이 있나요?
스웨덴의 물리학자 아레니우스가 내놓은 범종설이라는 가설에서 지구에는 우주에서 떠돌던 미생물이 지구의 생명체를 태어나게 했을것이라고 이야기하고있는데 지구에 있는 미생물 중 이러한 범종설에 가장 적합한 후보군의 미생물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스웨덴의 물리학자 아레니우스가 제시한 범종설은 지구의 생명체가 우주에서 온 미생물에 의해 태어났을 가능성을 제시한 가설입니다. 이 가설은 아직까지도 논란이 많은 주제이며 지구에 있는 미생물 중 이 가설에 가장 적합한 후보군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연구된 바에 따르면 지구에 존재하는 미생물 중에서 범종설의 후보가 될 만한 미생물은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우주에서 지구로 오는 우주 미생물이 지구의 생명체에 영향을 미치는 가능성은 있으며 이를 연구하는 과학자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와 증거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지속적인 연구와 논의를 통해 이 가설에 대한 새로운 발견과 진전이 있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등의 미생물은 진화 과정에서 다양한 변이를 겪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새로운 종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또한, 환경 변화나 새로운 호스트와의 상호작용 등이 범종설의 후보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범종설은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은 가설이므로 어떤미생물이 후보가 가능할지는 알 수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범종설은 정말 흥미로운 가설인 것 같습니다.
우주의 미생물이 지구에 운성 등에 붙어서 유입되었거나 또는 지구가 형성될 때 운석과 행성들이
충돌하고 결합하여 지구에 유입될 수 있습니다.
범종설에 적합한 미생물에는 고세균과 박테리아를 꼽을 수 있습니다.
특히 극한미생물은 극도로 높은 고온과 극저온 및 강한 방사선에도 견딜 수 있어서 범종설의 후보로 자주 등장합니다.
또한, 물곰은 우주와 같은 극한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있으므로, 범종설에 적합한 종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아레니우스의 범종설은 지금까지도 여러 가지 논쟁이 있는 이론 중 하나이며, 그 증거나 확실한 후보군은 아직 없습니다.
그러나 최근 우주에서 지구로 유래한 미생물의 존재가 발견될 정도로 기술이 발전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1년에는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채취한 우주 진드기에 지구에서 발견되지 않은 유전자가 있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아레니우스의 범종설을 지지하거나 반박하는 것은 아니지만, 지구 외 우주에서 유래한 미생물의 존재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연구 결과입니다.
그 외에도, 지구에 존재하는 미생물 중에서도 아직 발견되지 않은 종류가 많기 때문에, 아레니우스의 범종설의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와 조사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