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학적으로 남자는 왜 아직도 젖꼭지가 있는 것인가요?
남자는 여자와 달리 젖꼭지가 있어야 할 이유가 없는 것 같아요(실용성이 없습니다) 그런데 왜 남성도 생물학적으로 젖꼭지가 생성이 되는 것인지 아니면 진화가 아직 덜 되어서 완전히 없어지지는 않은 것인지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남성에게 젖꼭지가 존재하는 이유는 주로 발생학적(Embryological) 과정과 진화론적(Evolutionary)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인간의 발생 과정에서 남성과 여성은 초기 발달 단계에서 동일한 기본 구조를 공유하며, 이는 배아가 성적으로 분화되기 전에 형성됩니다. 이로 인해 남성에게도 젖꼭지가 존재하게 됩니다.
인간 배아는 초기 발달 단계에서 기본적으로 여성형 신체 구조를 따릅니다. 배아 발달의 약 7주차까지는 남성과 여성 모두 동일한 기본 신체 구조를 형성하며, 이 과정에서 유선 조직과 젖꼭지가 형성됩니다. 성적 분화는 배아 발달 약 7주차에 시작되며, 이 시점에서 남성은 Y 염색체에 있는 SRY 유전자의 영향을 받아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이 분비되기 시작합니다. 이로 인해 남성의 성적 특성이 발달하게 되지만, 이미 형성된 젖꼭지는 그대로 남게 됩니다. 진화론적 관점에서 보면, 남성에게 젖꼭지가 존재하는 것은 생존과 번식에 큰 해를 끼치지 않기 때문에 자연 선택(Natural Selection) 과정에서 제거되지 않았습니다. 젖꼭지는 기능적으로 필요하지 않지만, 그 존재 자체가 남성의 생존이나 번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진화 과정에서 그대로 남아있게 되었습니다.1명 평가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젖꼭지가 있는 것이 성별이 정해지지 않았을 때부터 존재하는 기본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배아에서 발달하는 과정에서 성별에 의한 차이가 생기기 전에는 남성이나 여성이나 몸의 구조가 같습니다.
그래서 임신 후 초음파로 태아의 성별을 알려면 일정 기간이 지나야 합니다.
어느정도 발달이 진행하면서 성염색체 조합에 따라 각 부위가 분화합니다.
이 시기 전에 이미 젖꼭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후에 여성의 경우 젖꼭지 부분이 젖을 생성할 수 있도록 분화하지만 남성에게서는 변화가 없습니다.
남성에게서 젖꼭지가 큰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지만
성분화전에 이미 생겨있는 젖꼭지를 생물학적 과정으로 제거하는 것도 굳이 필요한 현상은 아니기 때문에 남아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인간은 모두 태아기에 잠시 동안 암수 성징을 모두 가지고 시작하기 때문입니다.
인간을 포함한 모든 포유류는 태아 발달 초기 단계에서 암수 공통의 생식기가 형성됩니다. 이후 유전 정보에 따라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나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영향을 받아 각각 남성 또는 여성의 생식기로 발달하게 됩니다.
젖꼭지 형성도 마찬가지입니다. 젖꼭지는 유선과 함께 초기 태아기에 형성됩니다. 이 시기에는 아직 남성과 여성의 성별이 확실하게 구분되지 않기 때문에 모든 태아에게 젖꼭지가 생기는 것입니다.
이후 성별이 분화되면서 남성 호르몬의 영향으로 남성의 생식기가 발달하고 유선은 더 이상 발달하지 않지만, 이미 형성된 젖꼭지는 남아 있게 됩니다.
즉, 젖꼭지는 우리가 모두 한 개체에서 시작되었다는 생물학적 증거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이러한 생리적 특성은 진화적인 과정에서 발생한 유물로서, 현재는 실용성이 없지만 진화가 아직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아 남아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남성의 젖꼭지는 여성의 젖샘과는 다르게 발달하지 않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남성의 젖꼭지가 생성되는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있지만, 주로 생물학적으로는 젖생산에 대한 유전자가 존재하기 때문으로 여겨집니다.
진화론적으로 남성의 젖생산 관련 유전자가 존재하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비활성화되어 발달하지 않습니다. 이는 진화의 과정에서 남성이 젖생산에 대한 필요성이 없어지면서 해당 유전자가 점차적으로 비활성화된 결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남성이 젖꼭지를 가지는 이유는 태아 발달 과정에서 남녀가 처음에는 동일한 기본 설계도를 공유하기 때문입니다. 초기 태아는 성별이 구별되지 않는 중성 상태에서 발달을 시작하며, 이 시기에 젖꼭지가 형성됩니다. 이후 성별을 결정하는 유전자가 활성화되면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만, 이미 형성된 젖꼭지는 그대로 남습니다. 진화적 관점에서 남성의 젖꼭지가 생존에 불리하거나 유리하지 않기 때문에 자연 선택의 압력을 받지 않았고, 그 결과 그대로 유지된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인간에게서 여성과 남성 사이에는 숱한 차이점이 있지만, 그 중에 외형적으로 가장 두드러지는 차이 중 하나가 가슴인데요, 실상 가슴이라는 것은 거진 남성에게는 생존적인 측면에서 이점을 찾을 수 없는 기관이며 특히 젖꼭지가 그렇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성이 아직도 젖꼭지를 가지고 있는 이유는 젖꼭지가 배아 상태에서 '성 분화(sexual differentiation)'가 일어나기 전에 형성되는 기관이기 때문입니다. 인간은 배아 상태에서 양성 간의 차이가 거의 없는데요, 임신 6주가 되면 태아의 눈과 팔, 다리, 얼굴의 윤곽이 형성되고 이 과정에서 성 분화가 일어납니다. 만약 태아가 Y염색체를 보유하고 있다면 테스토스테론이 분비되어 고환을 만들고, 남성으로서의 분화가 일어나는 것입니다. 그런데 가슴과 젖꼭지는 그 이전에 이미 형성이 되기 때문에 말하자면 딱히 젖꼭지가 있을 이유는 없지만, 구태여 발생 과정에서 없어질 필요도 없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