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심리상담

우울증·조울증

rii
rii

정신적으로 너무 피로한거 같아요..

작년에 소화기관이 심하게 아팠던 적이 있는데 오래 아픈 뒤로 트라우마가 생겨서 음식 먹는게 좀 두려워요. 괜히 상하진 않았는지 유통기한도 계속 확인하게되고 조금만 안좋아도 전에 아팠던 기억들이 스멀스멀 떠올라서 너무 힘들어요. 지금은 그래도 나아진거 같다고 생각라는데 무기력증인지 우울증인지 몸에 에너지가 하나도 없네요. 기능성 소화불량에 위염에 과민성대장증후군도 갖고있어서 뭘 편히 먹지도 못하고 소화제도 잘 안듣고 해서 계속 스트레스를 받아요. 계속 멍 때리는 시간이 늘어나고 공부도 유튜브 보면서 쉬는것도 그냥 아무것도 못할정도로 힘들어요. 12시간씩 자도 피로 회복이 안되고요 방을 치우는것 조차 힘드네요. 너무 당황스럽고 이러면 안되는데 계속 힘들어서 죽고싶다는 생각이 들어요. 바뀌려고 다시 운동을 시작해보려고 하는데도 시작이 안되네요. 머리에 안개가 낀 기분 이라 해야하나.. 이럴땐 어떻게 해야하고 이 느낌은 뭐죠... 도와주세요 아무것도 못하겠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소화기 질환으로 인한 트라우마와 그로 인한 무기력감, 우울감으로 힘든 시간을 보내고 계시는군요. 겪으셨던 신체적 고통과 현재 느끼시는 감정적인 어려움은 서로 연결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과거의 경험이 현재의 행동과 감정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며, 특히 건강 문제와 관련된 트라우마는 더욱 그럴 수 있습니다.

    현재 상태는 단순히 피로한 것이 아니라, 심리적인 어려움이 동반된 상태일 수 있습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을 고려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정신건강의학과나 심리 상담을 통해 현재의 감정 상태를 정확히 진단받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필요하다면 약물 치료를 병행할 수도 있으며, 인지 행동 치료와 같은 심리 치료는 트라우마 극복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규칙적인 생활 습관을 유지하고, 가벼운 산책이나 스트레칭과 같은 신체 활동을 꾸준히 실천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러한 노력들이 현재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다시 활력을 되찾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