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차근이
차근이

기초대사량과 나이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궁금하네요?

기초대사량과 나이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궁금하네요?

확실하게 20대때랑 40대 때 비슷한 식사 생활습관인거 같은데도 배가 나오고 살이 찌는거 같은데요

나이와 기초대사량과의 관계에 대해서 궁급합니다..

기초대사량도 늘고 줄고 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고운푸들16
      고운푸들16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그렇습니다.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면서 신체 기능이 저하되면서 기초대사량이 감소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나이에 따른 기초대사량 변화는 20대 후반부터 60세까지 감소가 하더라도 유의미한 변화는 없으며 이는 나이가 들더라도 총 에너지 소비량은 어느정도 일정하게 유지되며, 기초대사량으로 인한 살 찌는 것은 잘못된 상식이라 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초대사량은 식사나 운동 등으로 인해 변화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면서 기초대사량은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주로 근육량이 감소하고 체지방량이 증가함에 따라 대사량이 감소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20대와 40대의 경우, 근육량이 감소하고 체지방량이 증가할 수 있으며, 대사활동이 둔화되어 기초대사량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또한 나이가 들면서 대사활동이 둔화되어 식사를 소화하고 에너지를 소비하는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초대사량은 나이와 함께 변화합니다.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면서 기초대사량은 감소하는데, 이는 근육량 감소와 신진대사 속도 저하 때문입니다. 하지만 규칙적인 운동과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하면 근육량을 유지하거나 증가시켜 기초대사량 감소를 완화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초대사량이란 우리 몸이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를 말한다. 이는 우리의 심장이 뛰고, 호흡을 하고, 체온을 유지하며, 뇌가 활동을 하는데 필요한 생명 유지를 위한 에너지로 우리가 사용하는 전체 에너지 중 기초대사량이 차지하는 에너지는 약 70%에 달한다. 기초대사량은 개개인에 따라 차이가 나는데 기초대사량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에너지소비가 잘 된다는 뜻으로 같은 양을 먹 어도 살이 덜 찌는 체질이 됨을 말한다.

      기초대사량을 구하는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 공식들이 있지만, 비교적 간단하고 정확한 공식은 나이와 체중, 성별에 따라 값을 구하는 다음 공식이다.

      기초대사량 공식

      - 남성의 경우에는 [293 - (3.8 x 나이) + 456.4 x 키(m) + 10.12 x 체중(kg)]

      - 여성은 [247 - (2.67 x 나이) + 401.5 x 키(m) + 8.60 × 체중(kg)]

      소아나 청소년 시기에는 키와 체중이 급격하게 변동하기 때문에 성인에게 적용되는 공식을 사용할 수 없고, 다른 공식을 사용해야 한다.

      위 공식을 보면 체중 변화가 없다면 남자는 나이가 한 살 늘어날 때마다 3.8kcal씩 기초대사량이 낮아지고, 여자는 한 살 늘어날 때마다 2.67kcal씩 기초대사량이 낮아지게 된다. 하지만 기초대사량은 여러 요인에 따라서 차이가 날 수 있다. 즉 나이, 성별, 체중, 키 외에도 근육의 양이나 인종적인 차이도 있을 수 있다.

      우선 유전자와 성별(남자가 더 높다) 등 선천적인 요인도 있지만, 갑상선 호르몬이나 아드레날린과 같은 대사 호르몬, 연 령, 체지방률, 체온, 체표면적 등 생체적인 요인들도 영향을 미친다. 또한 식생활과 운동, 외부 온도 등과 같이 후천적이거나 환경적인 요인 들도 기초대사량을 변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흔히 다이어트는 배가 고파야만 되는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는데, 굶을 경우 우리 몸은 위기감을 느껴 생명을 유지하 기 위한 수단으로 기초대사량을 떨어뜨린다. 식사량을 지나치게 줄이는 다이어트 후 요요현상이 잘 생기는 것도 기초대사량의 저하와 관계가 깊다.

      운동은 그 자체로 에너지를 소모하기도 하지만, 제지방량(근육, 내장, 뼈, 등)을 늘려 기초대사량을 높여준다. 체지방량이 적을수록 기초대사량이 높아지는 반면, 근육량이 많을수록 기초대사량이 높아지므로, 근육량을 높이는 것이 기초대사량을 증대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기온이 내려가거나 올라갈 경우에도 우리 몸은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에너지를 소모한다.

      따라서 기초대사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하루 세끼를 정해진 시간에 잘 챙겨먹고, 적정량의 운동을 하며, 평소 적절한 운동 으로 몸의 근육량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배고픈 다이어트는 결국 점점 다이어트와는 더 거리가 멀어진다는 것을 기억하고, 매끼 500~600kcal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규칙적인 식사를 하는 것을 습관화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출처 : 메트로병원 - 기초대사량 높이는 6가지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