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한번 걸렸던 사람이 다시 걸릴수 있나요?
오미크론은 증상이 심하지 않으니 그리 염려할 필요가 없다고들 말합니다.
혹자는 전국민이 한번씩 걸려야 한다는 말까지 합니다. 정말 그렇게 보는 것이 맞는지요?
또 어떤 이들은 오미크론이라 할지라도 후유증이 심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고 말하기도 하고 심한 기침과 두통을 동반한다는 말을 합니다.
이처럼 사람에 따라 나타나는 증상과 후유증이 다르다면 쉽게 생각할 것이 아닐까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에 확진된 이후에는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 만들어져 일정 기간 동안 유지되기 때문에 한동안 바이러스에 재차 감염될 가능성이 매우 낮아집니다. 하지만 시간이 경과하며 항체의 역가가 감소하게 되면 추후에 재감염의 가능성은 충분히 있습니다. 보통은 6개월 정도 항체가 지속된다고 보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경우에 따라 오미크론 바이러스도 심각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안심할 단계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코로나 감염 후 완치가 되면 우리 몸에 자연항체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다만 이 항체도 3~6개월뒤에 소실됩니다. 이후에는 감염에 노출될 경우 재감염 될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또다른 돌연변이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재감염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미크론을 포함한 코로나 바이러스 역시 재감염이 가능하며 대부분은 확진 후
3개월 이상은 면역 항체가 충분하여 재감염은 잘 되지 않습니다. 인플루엔자와 같이
변이가 잘 되는 바이러스 들은 결국 항체가 감소한 이후 재감염이 다시 될 수 있으며
1년 간 2.5% 까지 재감염을 보고하고 있지만 대부분 경증으로 나타나며 결국 나이가
들면서 이런 항체 생성은 줄어들기 때문에 고령에서 코로나 감염이 위험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현재 우세종은 오미크론 변이로 확진된 후에 백신 접종처럼 항체가 형성됩니다. 백신 접종 후에 항체가는 대략 3개월에 최고치를 찍고 6개월에 최저치를 기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확진자도 이와 유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므로 수개월 동안은 같은 변이에는 재감염의 가능성은 낮습니다. 하지만 서로 다른 변이의 경우 생성된 항체를 회피하여 재감염 시킬 수 있어 이론적으로 가능성은 있습니다. 하지만 감염되더라도 백신 접종자 및 이전 감염자는 생성된 면역력으로 인해 회복이 좀 더 빠르고 경증으로 지나가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020년 미국 CDC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독감으로 인한 치명률은 100,000명당 1.8명 (0.00018)으로 조사되었습니다. 1월에 발표된 미국 CDC 자료에 의하면 2021년 11월 부터 2022년 1월까지 오미크론 변이 사망자 및 치명률은
백신 미접종/ 백신 2차접종/ 백신 부스터 접종 기준으로
485 (0.3)/ 172 (0.08)/ 40 (0.07)명으로 발표되었습니다.
그러므로 독감에 비하기에는 중증도는 여전히 높은 편이나 현재로서는 오미크론이 비교적 경증이며 판데믹이 2년간 지속되는 상황이므로 위드 코로나를 하며 최대한 피해를 줄이는 방향으로 정책을 시행중입니다.
안녕하세요. 노용성 의사입니다.
똑같은 오미크론에는 다시 안걸리는게 맞지만
이번 코로나19는 변이가 다양한것으로 보면
조만간 다른 변이가 출현할 것이고 또 재유행을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때는 재감염가능성이 있겟죠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코로나에 확진후 완치된 분들의 경우 생성되는 항체의 양이 작고 변이형에는 취약할수 있어서, 언제든지 재감염의 가능성은 있습니다.
확률적으로는 약 0.03%의 확률로 재감염이 될수 있지만 주변에서 많은 사례가 있으므로 평상시 개인방역에 철저히 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백신접종자의 돌파감염과 마찬가지로 왼치자도 재감염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감염 이후에도 추가 감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부스터 접종등 추가접종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오미크론 감염 이후 다른 변이에 의한 재감염률이 유럽 일부지역에서 10%가까이 된다는 연구결과도 존재합니다.
현재 공식감염자가 천만명이며 사망자가 일 300명에 가깝기 때문에 항상 주의를 요하는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창윤 소아과의사입니다.
코로나 완치 후에도 재감염 가능성이 있습니다.
변이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특히 취약할 수 있습니다.
항상 마스크 착용 잘 하시고, 손씻기 잘 하시어 주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요즘 코로나 확진자들이 많이 늘면서 후유증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들 진행되고 있습니다.
2-3개월 이상 후유증이 지속되는 롱코비드에 대한 연구들이 많으며 이중에는 뇌의 일부가 위축이 된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습니다.
코로나 감염 후 심한 피로감을 호소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뇌의 위축에 의한 증상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코로나 감염 절대로 가볍게 볼 질환이 아닙니다.
오미크론에 걸리면 오미크론에 다시 재감염 될 확률은 많이 낮아지지만 또 다른 변이에는 재감염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제목과 질문의 내용이 다르네요. 오미크론 감염 이후에 다른 변이가 유행하게 된다면 다시 감염될 가능성이 있지만 격리 해제 후 바로 오미크론에 재감염이 되지는 않습니다. 오미크론 이후에 어떤 변이가 생기느냐에 따라 재감염은 달라질 수 있답니다. 오미크론 이전의 변이들은 전파력이 세지 않았고 대략 1~2% 정도의 재감염율을 보였습니다. 오미크론은 변이가 심하다 보니 이전 변이에 감염되고 오미크론에 재감염되는 사례가 10%까지 보고되었구요. 어쨌든 감염의 가능성이 낮기는 하나 조심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미크론이 치명적이지는 않지만 걸려보면 많이 고생합니다. 생각보다 후유증도 오래가구요. 한번씩 걸리는 것이 낫다는 것은 잘못된 생각입니다. 끝까지 걸리지 않도록 조심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코로나와 같은 바이러스는 한번 걸리면 면역이 생성되어 재감염은 잘 일어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확률이고 간혹 드물게 재감염이 일어나는 경우도 보고되고 있습니다. 항체 지속 기간인 4~6개월 정도 후에는 재감염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시 걸렸을 때는 증상이 약할 가능성이 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