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법률

지식재산권·IT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한국의 국기의 상업적 이용이 제한되어 있나요?

태극기를 상업적으로 사용할 시에 법적으로 제한이 되어 있는 내용이 궁금합니다.

태극기를 상업적으로 사용할 시에 저작권에 대한 침해가 될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전준휘변호사
      전준휘변호사

      안녕하세요. 김진우 변호사입니다.

      질문주신 사항에 대해 답변드리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혐오감을 주는 방법으로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될 것은 없다고 보여집니다.

      제11조(국기 또는 국기문양의 활용 및 제한) ①국기 또는 국기문양(태극과 4괘)은 각종 물품과 의식(儀式)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다만,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깃면에 구멍을 내거나 절단하는 등 훼손하여 사용하는 경우

      2. 국민에게 혐오감을 주는 방법으로 활용하는 경우

      ②제1항의 국기문양 중 태극과 괘는 이를 함께 또는 따로 분리하여 각종 물품과 의식 등에 활용할 수 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법률 상담 지식답변자 김성훈 변호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래 내용은 문의내용에 기초하여 작성된 것으로, 구체적인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국기는 상표로 사용 및 상표등록이 불가능하며, 이를 위반하는 경우에는 상표법 및 부정경쟁방지법위반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부정경쟁방지법 제3조, 제18조, 상표법 제34조).

    • 안녕하세요. 이성재 변호사/세무사입니다.

      부정경쟁방지법에서 국기, 국가표장 등의 임의 사용, 상업적 사용을 금지하고 있어 법률 위반의 소지가 있습니다. 주의가 필요합니다.

      제3조(국기ㆍ국장 등의 사용 금지) ① 파리협약 당사국, 세계무역기구 회원국 또는 「상표법 조약」 체약국의 국기ㆍ국장(國章), 그 밖의 휘장이나 국제기구의 표지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은 상표로 사용할 수 없다. 다만, 해당 국가 또는 국제기구의 허락을 받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② 파리협약 당사국, 세계무역기구 회원국 또는 「상표법 조약」 체약국 정부의 감독용 또는 증명용 표지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은 상표로 사용할 수 없다. 다만, 해당 정부의 허락을 받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전문개정 2007. 12.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