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공감왕
공감왕

정부에서 국내코인 600종 상폐 심사 들어간다고하는데요. 해외에 2년이상 상장된 코인은 괜찮다고 하는데요?

정부에서 국내코인 600종 상폐 심사 들어간다고하는데요. 해외에 2년이상 상장된 코인은 괜찮다고 하는데요? 600종 리스트를 알수있을까요? 어떻게들 생각하시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국내 가상자산거래소들이 오는 7월 19일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을 앞두고 다음 달부터 거래 중인 600개 종목의 상장유지 여부를 심사한다. 기준 미달 종목은 거래 유의 종목으로 지정 후 상장 폐지합니다. 16일 가상자산 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이 같은 내용의 가상자산 거래지원 모범 사례안을 추후 확정하고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시행과 함께 모든 거래소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입니다. 5대 원화마켓 거래소(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고팍스)를 비롯해 금융당국에 신고된 29개 가상자산거래소는 거래 중인 모든 종목에 대해 상장 유지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거래소별로 설치해야 하는 거래지원 심의·의결 기구에서 심사하는 항목은 △발행 주체 신뢰성 △이용자 보호 장치 △기술·보안 △법규 준수 등입니다. 다만 발행 주체가 특정되지 않은 비트코인 등은 대체 심사 방안을 도입할 계획입니다.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홍콩, 싱가포르, 인도, 호주 등 충분한 규제 체계가 갖춰진 적격 해외시장에서 2년 이상 정상 거래된 가상자산은 일부 요건에 대한 심사를 완화한다는 계획입니다.

    지금까지 예상되는 상폐 코인목록입니다.

    1. 토카막 (업비트 99.9% / 단독상장 / 김치)

    2. 스트라이크 (업비트 99.9% / 유통량 불분명함)

    3. 알파쿼크 (업비트 50% / 유통량 불분명함)

    4. 센티넬 (업비트 99.9% / 단독상장 / 김치)

    5. 메타디움 (업빗썸 100% / 김치)

    6. 메디블록 (업비트 93% / 김치)

    7. 크레딧 (업빗썸 95% / 김치 / 유통량불분명)

    8. 썬더 (업빗썸 99%)

    9. 샌드박스 (업빗썸 90% / 김치)

    10. 모스 (업비트 100% / 김치)

    11. 디센트럴랜드 (업빗썸 98% / 김치)

    12. 아하 (업비트 100% / 김치)

    13. 멀티버스엑스 (업비트 70% / 유통량 불분명)

    14. 하이파이 (업비트 80% / 유통량 불분명)

    14. 펀디엑스 (업빗썸 80% / 김치)

    15. 스토리지 (업빗썸 80%)

    16. 히포크랏 (업빗코인원 100% / 김치)

    17. 피르마 (업빗썸 90% / 김치)

    18. 스트라티스 (업빗썸 55%)

    19. 보라 (업빗썸 95% / 김치)

    20. 게임빌드 (업비트 100% / 리브랜딩후 티커정보조차 아직도 조회안됨)

    21. 넴 (개발 중단 -> 심볼로 리브랜딩)

    22. 웨이브 (바낸 상폐 /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 실패)

    23. 위믹스 (가상자산 거래소 불법 / 장현국 사법처리 )

    24. 밀크 (업비트 80% / 김치)

  • 안녕하세요

    • 상상폐지 심사에 들어가는 코인은 국내에 상장된 모든 코인으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 즉 모든 코인을 하나의 기준으로 점검하여 상장폐지 요건에 해당하면 거래소에서 거래가 안되게 막는 것입니다.

    • 이는 올해 6개월 동안 진행하고 그 이후 3개월마다 상장폐지 요건에 해당하는지 체크를 진행하며 해당하면

      폐지 절차를 밟는 과정을 거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다음달에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이 시행되면 국내에서 거래되는 모든 코인이 600여개 정도 인데 이 모든 코인의 상장적정성 여부를 검토한다고 발표를 했습니다 600여종 리스트라는게 국내거래소에서 거래되는 모든 코인이 600개 정도라 그렇게 말하는거네요

  • 일단 600종은 업비트, 빗썸, 코인원등 국내거래소에 상장된 원화, BTC마켓 거래 코인 전부가 해당됩니다. 이중에서 해외에서 국내로 들어와 상장된 코인들의 경우는 상장유지 심사가 완화돼 적용될 것이고 국내발행 코인의 경우가 좀 엄격하게 상장유지 심사가 이루어질듯 합니다.

    이를 통해 장기적으로 사업의 투명성과, 거래의 안전, 투자자에 대한 거래의 안전보장이 되는 코인만 남게 되지 않을까요?

  •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 22곳에 상장된 코인 전부인데요. 비트코인, 이더리움부터 우리가 받는 아하토큰 등 전체인 600종입니다. 이중 133종은 우리나라에서 발행하거나 우리나라에서만 거래되는 코인이라고 합니다. 아마도 상장폐지까지는 내년쯤이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이고, 그 사이 정부 기준을 만족하는 가상화폐들은 걱정할 것 없어 보입니다.

  • 정부가 가상 자산 거래소에 거래 중인 600개 종목에 대해서 상장 유지. 여부를 검토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기사를 찾아봤을 때 2년 이상인 코인에 대해서 제외된다는 내용은 없고 모든 코인을 대상으로 한다는 내용은 있습니다. 그래서 제가 찾아본 자료상으로는 2년이상 코인에 대한 제외는 없어 보입니다

  •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고팍스 등 29개 가상자산 거래소는 이러한 심사를 통해 거래 중인 모든 종목에 대해 상장 유지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금융 당국 관계자는 가상자산거래소가 6개월 간 거래 중인 가상자산 종목들에 대해 첫 번째로 거래 지원 유지 여부를 심사하게 될 것이며, 이후 3개월마다 한 차례씩 유지 심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심사에서는 발행 주체의 신뢰성, 이용자 보호 장치, 기술과 보안 수준, 법규 준수 여부 등이 주요 평가 항목으로 삼겨집니다. 또한 발행, 운영, 개발 관련 주체의 역량과 사회적 신용, 과거 사업 이력 또한 고려되며, 가상자산 관련 중요 사항 공시 여부와 가상자산 운영의 투명성, 총 발행량 및 유통량 규모 등도 검토 대상에 포함된다고 합니다. 현재로서는 정해진 것이 없어서 어느 코인이 상폐당할지는 모를 것으로 보여지며, 기준도 명확하지 않아 불안한 상황입니다.

  • 아직 규제정책 발표외에 구체적인 폐지 코인은 없으며, 국내 거래소들은 다양한 심사 기준을 통해 가상자산의 상장 여부를 결정합니다. 이에는 발행 주체의 신뢰성, 이용자 보호 장치, 기술 및 보안 수준, 법규 준수 등이 포함됩니다. 또한 발행, 운영, 개발 주체의 역량과 사회적 신용, 과거 사업 이력 등도 중요한 심사 대상입니다. 거래소는 이러한 사항들을 개별 심의 및 의결기구를 통해 철저히 검토하며, 가상자산의 투명성, 총 발행량, 시가총액 등에 대한 정보 공개 여부도 신중히 평가합니다.

    특히 비트코인과 같은 발행 주체가 명확하지 않거나 탈중앙화 자율조직(DAO)이 발행한 코인은 일반적으로 심사 요건을 충족하지 못할 수 있지만, 국내 거래 지원을 위해 대체 심사 방안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등 각국의 충분한 규제 체계가 갖춰진 해외 시장에서 2년 이상 정상적으로 거래된 가상자산에 대해서는 일부 심사 기준을 완화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 미국이나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홍콩, 싱가포르, 인도, 호주 등 충분한 규제 체계가 갖춰진 적격 해외시장에서 2년 이상 정상 거래된 가상자산 등 대체 심사 요건에 해당하는 가상자산에 대해서는 일부 요건에 대한 심사를 완화한다는 계획이며 아직 600종이 어떠한 것이 될지는 알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공감왕님,

    최근에 발표된 가상자산 규제 관련 가이드 방침이 금융위에서 나왔습니다. 골자는 "투자자 보호" 입니다.

    실제로 600종 상폐 심사는 아직 확정된 것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일단 국내 거래소에 상장 되어 있는 대부분의 코인이 해당 되는 것 같고 일명 "버거코인"으로 분류 되는 해외 코인도 심사 리스트에 올라간다고 합니다.

    그리고 해외에 2년 이상 상장된 코인은 심사 요건을 완화 한다고 하지만 실제로 바낸,okx.바이비트 같은 해외거래소는 금융위에서 마련한 참조하겠다는 해외거래소 자격에 미달 합니다. 현재는 대형거래소는 "코인베이스"만 가능 한 상태 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질문해주신 정부에서 국내코인 600종 상폐 심사에 들어간다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600종 리스트는 아직까지 정확하게 알려진 것이 없지만 600종이기에 거의 대부분의 알트들이 포함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 해당 코인 600개를 금융당국에서 list-up 한 바는 없습니다. 대부분 국내 주요 거래소에 상장된 코인들이나 상장이 예정된 코인들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해외 주요 거래소에 2년 이상 상장된 코인의 경우 어느 정도 사업 모델과 거래량 등이 입증된 것이라고 여기는 것 같습니다. 구체적인 감사 가이드 라인은 아직 알려진 바가 없는데 정부 금융 당국 내에서도 600개 코인을 감사할 역량이 있는지도 의심스럽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