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싫어하는 음식을 먹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아이가 편식이 있다면 음식을 차리고 먹게하는데 스트레스가 많을거 같습니다. 아이가 싫어하는 음식을 먹게 하려면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싫어하는 음식을 먹게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단계적으로 개선하는 푸드 브리지
푸드 브리지는 아이가 건강한 음식과 친숙해지도록 단계적으로 다리를 놓아 주는 것을 말합니다.먼저 아이가 시각적으로 친숙해지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식재료를 놀이 기구로 활용하거나 아이와 함께 마트에서 식재료를 고르고 구매해 보세요.그다음에는 조리 방법을 살짝 바꿔서 아이가 좋아하는 음식에 권장 식재료를 활용합니다.다양한 요리법 시도
아이가 싫어하는 음식을 다양한 요리법으로 조리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채소를 잘게 썰어 볶음밥이나 죽으로 만들거나, 채소를 넣은 샌드위치나 햄버거 등을 만들어 볼 수 있습니다.부모의 식습관 변화
부모가 식습관을 바꾸면 아이도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부모가 건강한 음식을 먹고, 즐겁게 식사하는 모습을 보여주면 아이도 자연스럽게 건강한 식습관을 갖게 됩니다.보상 제도 활용
아이가 싫어하는 음식을 먹었을 때 보상을 주는 것도 일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단, 보상이 너무 잦으면 아이가 보상에만 의존하게 될 수 있으므로 적당한 선에서 활용해야 합니다.식사 시간 규칙 정하기
식사 시간을 정해 놓고, 정해진 시간에 식사를 마치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통해 아이가 규칙적인 식습관을 갖게 되고, 싫어하는 음식도 조금씩 먹게 될 수 있습니다.단, 아이의 식습관을 강제로 바꾸려고 하거나 무섭게 다그치는 것은 역효과를 일으킬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 )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싫어하는 음식을 먹게 하려면, 강요보다는 긍정적인 경험을 통해 음식을 익숙하게 만드는게 중요합니다. 식사중에 칭찬과 격려를 해주고 아이가 스스로 음식을 선택하게끔 기회를 주는 것도 좋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와 함께 음식 준비를 하거나 음식을 만들어 보세요
아이가 본인이 준비한 음식에 흥미를 가지게 됩니다.
그리고 잘 먹는 음식에 잘게 썰어서 섞어 주는 방법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편식이 문제가된다고 음식을 강제로 먹이시면 오히려 더 역효과가 생깁니다. 아이처럼 극도로 편중된 편식을 한다면 보통 아이들은 음식을 입에 대보지도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또 단순히 모양이나 색깔이 이상해서 안먹을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에 아이들이 음식을 요리하는 과정에 일부라도 참여할 수 있게끔 하면 편식을 없애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내가 만든 음식이라는 인식이 머릿속에 강하게 박혀 있기 때문이죠. 그리고 집에서 요리할 때 사용하는 식재료를 집에서 직접 키워보고 그 야채들을 직접 먹어보는게 교육적으로 굉장히 큰 의미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먹기 싫어하는 음식이 있다고 하면 평소 먹던 방식과 다르게 요리방법을 달리 하거나 아이와 함께 요리하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도 좋습니다. 아이와 함께 직접 재료를 준비하고 잘라보고 요리하는 과정에 참여하면서 다양하게 만들어보고 맛도 보면서 음식에 대한 이야기도 나누다 보면 음식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수 있으며 다양한 음식을 접할수 있는 기회를 많이 갖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아이가 싫어하는 음식을 조금이라도 먹는 것을 시도하거나 먹었을때는 칭찬과 격려를 해주시면 아이의 식습관형성에 도움이 될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