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우선 무역정책 추진으로 중국에 최대 245% 관세를 부과하고 있는데 미국은 희토류도 자국내에서 채굴, 생산이 가능한가요?
미국이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행정명령을 발동했습니다
주로 광물자원이 엮이는 것 같던데
희토류는 중국에 매장량이 많다고 알고 있습니다
현재 미국의 정책을 보면
희토류도 자체 채굴, 생산이 가능한가 싶은데 현실적으로 미국 우선 무역정책에서
광물부분은 미국 경제에 어떤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나요?
실제 실현가능한 정책에 가깝나요?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내에서도 희토류를 생산하고는 있습니다. USA레어어스는 2024년부터 오클라호마주 스틸워터에 있는 공장에서 네오디뮴 자석을 생산하기 시작했고, 2025년 하반기 또는 2026년 상반기에 텍사스주 엘패소 인근의 라운드탑(Round Top) 광구에서 자체 희토류 금속을 채굴 및 정제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MP 머티리얼즈는 중국을 제외한 전 세계 최대 희토류 생산업체로 희토류 광산 및 가공 시설인 캘리포니아의 마운틴 패스 광산에서 희토류 채굴, 제련, 분리, 정련을 모두 수행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도 희토류를 채굴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로 따지면 약 12%정도의 희토류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대부분 수입해서 사용하는 이유는 석유를 수입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미국내에 있는 자원을 최대한 절약하기 위함입니다
물론 광물 수급 제한이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완전히 채굴이 불가능한 자원은 아니기 때문에
미국은 꾸준히 무역전쟁을 강화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미국은 희토류의 채굴과 생산에서 상당한 제약을 받고 있습니다. 미국 내에서 유일하게 운영 중인 희토류 광산은 캘리포니아의 마운틴 패스 광산으로, MP Materials가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광산은 2024년에 약 45,000톤의 희토류 산화물을 생산하여 전 세계 생산량의 약 15%를 차지했습니다 . 그러나 대부분의 정제 및 가공 과정은 여전히 중국에 의존하고 있어, 완전한 자급자족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미국 정부는 이러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텍사스의 라운드 톱 프로젝트에서는 희토류의 채굴과 정제를 위한 시설을 개발 중이며, 최근에는 고순도의 디스프로슘 산화물을 자체 기술로 생산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 또한, MP Materials는 텍사스 포트워스에 네오디뮴-프라세오디뮴 금속 및 자석 생산 시설을 건설하여 국내 공급망을 강화하고자 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유일한 희토류 광산은 마운틴 패스입니다. 전 세계 희토류의 공급 1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다만 나머지 90%가 중국에서 생산되고 있기 때문에 미국의 소비량 대비 절대적으로 자체 생산량이 부족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은 희토류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지만, 채굴 및 정제 과정에서 환경 오염 문제가 심각하고 비용이 많이 들어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상황입니다. 최근 미국은 희토류 공급망의 다변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국내 채굴 및 생산을 늘리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의 희토류 생산 능력을 단기간에 따라잡기는 쉽지 않으며, 환경 규제 등으로 인해 생산 확대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미국의 광물 관련 우선 무역 정책은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공급망을 안정화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광물 가격 상승, 관련 산업의 생산 비용 증가 등 미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자국 내 생산량이 충분치 않고 채굴 비용이 비싸 중국에서 수입하여 필요한 부분을 충당한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중국 이외 지역에서도 희토류가 생산 되지만 현재 기준 미국 필요량을 맞추기는 어렵습니다. 최소 3~4년 이상 대체 수입처와 자체 생산량을 확보하는 작업이 필요한데 중국만큼 저렴한 가격에 수급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1980년대 중반까지 미국은 상당한 규모의 희토류 생산국이었으나 중국의 희토류 산업 집중화에 따라 미국도 수입하는편이 더욱 가성비가 좋다고 하여 사업은 거의 중단되었습니다.
현재 미국도 이러한 희토류 채굴과 생산이 가능하지만 현재로서는 중국과의 격차는 하늘과 땅차이로 수입없이 원자재 조달 자립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당장은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은 희토류 자국내에서 채굴이 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미국 내에도 희토류가 매장되어 있고
매장량은 약 180만톤이며 이는 세계에서 8번째로 많은
매장량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내에서도 희토류는 있고 매장량을 보유한 곳이 발견은 되고 있습니다. 문제는 희토류는 제련사업이나 마찬가지입니다. 이로 인해서 화학공업으로 인해서 환경을 파괴하고 각종 오염문제가 심각합니다. 즉 환경오염에 대해서 미국은 민감하기 때문에 쉽게 할 수가 없는 상황입니다.
이로 인해서 현재 전세계 희토류가 중국다음으로 많이 보유하고 있는 국가가 바로 베트남과 브라질입니다. 이들은 상대적으로 영토가 매우 크고 환경오염에 대해서 민감도가 덜하다는 점입니다. 즉 미국이 이들 국가와 전략적으로 협업하여 희토류 의존도를 중국으로부터 크게 줄이려는 정책을 현재 실시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다만 현재는 중국으로부터 디스프로슘이나 네오미듐같은 핵심 희토류는 거의 100%에 가깝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지금 당장은 희토류 수입이 안된다면 자국의 첨단산업의 큰 영향을 줄 수밖에 없습니다